"포털평가위, 경쟁자 배제 수단 전락 우려"

인터넷 뉴스생태계 세미나

  • 페이스북
  • 트위치

▲23일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한국언론학회 주최 '인터넷 뉴스생태계의 현안과 개선 방향' 세미나가 개최됐다. 이날 최성진 한국인터넷기업협회 사무국장(왼쪽부터), 지성우 성균관대 교수, 김춘식 한국외대 교수, 김기현 인터넷신문위원회 사무차장, 이준웅 서울대 교수, 김동규 건국대 교수, 김위근 한국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 등이 토론하고 있다. 이외에 곽혁 한국광고주협회 상무, 이재진 한양대 교수, 임철수 한국신문협회 부장, 황방열 한국기자협회 뉴미디어특위 위원장 등이 참석했다. (김달아 기자)

사이비언론과 저질 기사, 어뷰징 등 한국 언론이 개선해야 할 과제로 부각되고 있는 인터넷 뉴스 환경에 대해 논의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한국언론학회 주최 ‘인터넷 뉴스생태계의 현안과 개선 방향’ 세미나가 23일 프레스센터 열렸다. 발제자로 나선 이준웅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와 김위근 한국언론진흥재단 선임연구위원을 비롯한 관련 업계·학계 전문가들은 인터넷 뉴스생태계의 개선 방향에 대해 열띤 토론을 펼쳤다. 최근 포털을 중심으로 진행 중인 뉴스제휴평가위원회와 오피셜 댓글에 대해서도 다양한 의견이 나왔다.   

인터넷신문은 최근 10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매년 700~1000여 곳이 새로 등장했고 2014년 말 기준 현재 5950곳이 등록돼 있다. 정기간행물 중 인터넷신문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 3.8%에 불과했지만 2014년에는 33.8%까지 치솟았다.   

이준웅 교수는 “포털을 통해 뉴스를 보는 양은 증가하는 반면 뉴스 이용자의 언론 매체에 대한 신뢰도는 하락하고 있다”며 “언론사와 포털은 뉴스를 매개로 이용자의 유량을 확보하기 위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지만 이 경쟁이 수익과 기사 품질의 선순환 효과를 만들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지금 언론 생태계에서는 포털과 언론사, 이용자 모두 행복하지 않다”며 “포털이 변화에 주도적으로 앞장서야 한다. 언론사 제휴등급을 1부·2부·3부리그 등으로 나눈 멀티리그제를 도입해 (뉴스평가를 거쳐) 언론사가 언제든지 떨어지고 올라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어떤가”라고 제안했다. 

이어 김위근 선임연구위원은 “그동안 인터넷언론을 통해 여론 다양성의 확보 등 효과가 있었지만, 이들이 정상적인 저널리즘 행위를 통한 수익보다는 베끼기로 얻는 광고수입에 의존하면서 폐해가 발생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 선임연구위원은 인터넷뉴스 생태계의 문제 해결을 위해 인터넷신문 등록제 개선에 중점을 뒀다. 자체생산 기사의 비율을 현행 30%에서 더 올리고 등록 요건 중 각 언론사의 종사자 수를 기존 3명에서 5명 정도로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에 대해 김춘식 한국외대 언론정보학부 교수는 “언론사의 인적자원 규모가 뉴스의 품질과 비례한다면, 소위 주류 언론들의 저널리즘 실천이 뛰어나야 하는데 오히려 낮은 경우가 더 많다”며 “데스크의 ‘클릭 수 중심’ 뉴스 판단 기준 관행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뉴스의 질은 더욱 떨어지고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고 꼬집었다. 

네이버와 다음카카오가 새로운 뉴스제휴 정책으로 제안한 공개형 뉴스제휴 평가위원회에 대해서는 기대와 우려가 교차했다. 

임철수 한국신문협회 부장은 “사이비언론 때문에 언론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이 나빠진 데 위기를 느끼고 제휴평가위원회에 참여하게 됐다”며 “포털·언론계 전문가들과 자율·타율적 제재 등 투트랙으로 해결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김 교수는 “이번 제휴평가위원회는 뉴스 소비자는 배제된 채 생산자 중심으로만 구성돼 있어 잠재적 경쟁자를 배제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며 “소비자가 양질의 뉴스를 접하기 위한 조건은 언론사 평가가 아니라 뉴스 평가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카카오가 준비 중인 오피셜 댓글에 대해 이 교수는 “뉴스에 언급된 당사자가 포털 댓글을 통해 직접 반론할 수 있는 것은 좋은 시도”라고 언급했지만 황방열 한국기자협회 뉴미디어특위 위원장은 조금 더 신중하게 접급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황 위원장은 “정부와 기업의 힘이 막강해 반론할 수 있는 주체의 범위가 어디까지냐에 따라 오피셜 댓글이 이들의 목소리를 일방적으로 제공할 통로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황 위원장은 “인터넷 언론 환경에 많은 문제가 있지만 이 속에서 퇴출해야 할 것이 있다면 그것은 언론사가 아닌 기사가 돼야 한다”며 “작은 매체라도 괜찮은 기사라면 많은 사람이 읽을 수 있도록 유통되는 것이 올바른 생태구조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