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털, 기사에 정부·기업 반박 댓글 허용 논란

다음카카오 '오피셜 댓글' 서비스 도입, 네이버는 검토 중
"오보 재생산 방지 효과"…과도한 반론권 여론 왜곡 우려

  • 페이스북
  • 트위치

포털이 언론사들이 제공하는 기사에 정부나 기업의 반박 댓글을 직접 달 수 있는 서비스를 선보이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다음카카오는 자사에서 서비스되는 뉴스에 대해 기자뿐 아니라 정부, 기업이 직접 댓글을 달 수 있는 ‘오피셜 댓글’서비스를 도입한다고 지난 22일 밝혔다.
네이버 역시 이와 유사한 성격의 서비스인 ‘공식의견 서비스’도입을 검토 중이다.


이번 서비스의 특징은 취재 대상인 정부와 기업에 공식 ID를 부여해 직접 반론·해명 등을 할 수 있도록 뉴스 화면에 공식 댓글난을 신설하는 것이다. 정부나 기업의 댓글은 눈에 잘 띄도록 댓글난 최상단에 고정된다.


특히 기사가 SNS 등을 통해 퍼질 때도 공식 댓글은 기사와 함께 붙여 유통된다. 요즘처럼 기사가 확산되기 쉬운 플랫폼 환경에서 잘못된 정보의 유통을 막기 위해서라는 게 다음카카오측 설명이다.
다음카카오는 10여개 언론사로부터 오피셜 댓글 서비스 참여 신청을 받았고 정부와 기업에도 올해 3분기부터 신청을 받아 적용할 계획이다.


앞서 양 포털 업체는 지난 11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문화체육관광부 국민소통실이 주관한 ‘온라인 대변인 정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댓글 서비스는 온라인 담당자들한테 중요한 업무이기 때문에 관련 내용을 인지하고 양사에 준비 상황을 소개해 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기업 입장에선 인터넷 매체가 난립하면서 일일이 대응하기 힘들다는 점과 잘못된 기사가 급속히 확대·재생산되는 파급력 등을 감안해 이번 서비스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하지만 기업들이 큰 언론사를 상대로 공식 댓글을 통해 반론이나 반박을 제대로 할 수 있을지와 댓글을 통한 반론과 재반론이 자칫 소모적인 논쟁으로 번질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더구나 언론중재법 등을 통한 구제방안이 있는 상황에서 정부나 기업에 과도한 반론권을 제공하는 것이 오히려 ‘여론 왜곡’을 가져 올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한 신문사 온라인담당 간부는 “기사에 꼬리표처럼 정부나 기업의 댓글이 따라 다닐 경우 이해관계에 따라 극히 주관적인 입장이 전달될 가능성이 크고 이 탓에 기사 내용이 왜곡될 수도 있다”며 “취재환경을 위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악용되는 것을 어떻게 막을 것인지가 관건”이라고 지적했다.


이에 다음카카오 관계자는 “지난해 4월부터 일부 매체와 ‘소셜티비 기자댓글’이란 이름으로 시범 운영하면서 호응이 좋았기 때문에 언론 외에 정부와 기업으로 서비스를 확대한 것”이라며 “신청하는 언론사 기사에만 오피셜 댓글이 제공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언론사 입장에선 독자에게 기사와 관련된 추가 내용을 별도의 기사가 아닌 같은 기사 내에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서비스의 품질을 높이고 소통 기회를 넓힐 수 있다”며 “정부나 기업에게는 간혹 잘못된 기사가 확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치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