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달인' 경향신문 엄민용 기자

[기자가 말하는 기자]강건우 농민신문 기자

  • 페이스북
  • 트위치

▲강건우 농민신문 기자

인터넷에서 기사를 읽다보면 사소한 오타가 간혹 눈에 띄곤 한다. 그런 기사에는 어김없이 이를 지적하는 댓글이 달려 있다. ‘요즘 기자들은 자기가 쓴 글을 보지도 않고 올리나?’ 같은 댓글은 양반이고 낯 뜨거울 정도로 기자를 비웃는 내용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그럴 때면 경향신문 엄민용 기자가 떠오른다. 그는 한국어문 대상을 수상했고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서 수천 개의 오류를 찾아내는 등 소위 ‘우리말 달인’으로 불리는 기자다.


문화부 기자로 일하다보면 이러한 맞춤법은 말할 것도 없고 글발이란 벽에 부딪히는 때가 잦다. 머리를 쥐어뜯어도 참신한 단어와 문장이 나오지 않을 때, 그 막막함이란 이루 말할 수 없다. 이러한 고민이 극에 달했을 때 어느 강의에서 엄민용 기자를 만났다. 역시 달인답게 그는 이런 고민을 단박에 해결해줬다.


강의에서 그가 뱉은 첫 구절은 “이 세상에서 가장 쉬운 게 글쓰기입니다”였다. 실소가 나왔다. 하지만 이어지는 그의 설명에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글쓰기를 어렵게 느끼는 것은 쓰려는 분야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기 때문이며, 자료 조사만 철저히 해도 절반은 쓴 것이나 다름없다는 내용이었다.


그리고 이어지는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이 없습니다”라는 조언은 글쓰기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주었다. 음식·여행·운동 등 주제별로 유용한 문장을 평소 공책에 갈무리해두고 이를 변주하면 어떤 주제의 글이라도 두려움 없이 쓸 수 있다는 게 그의 요지였다. 예컨대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란 문장을 ‘하지만 그 새는 자세히 보지 못 한다’로 비트는 식이다.


결국 참신한 글을 쓰려면 부단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게 엄민용 기자의 지론이었다. 그의 조언을 따라 글발 좀 세우는 기자가 되길 소망하나 그 길이 쉽지는 않은 것 같다. 십년 후에나 후배 기자들 앞에 서서 “글쓰기가 제일 쉬운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강건우 농민신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