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 디지털 초판 수입 최대 연 12억원

인센티브 제공 등 경쟁 치열…주 타깃은 기업·관공서

  • 페이스북
  • 트위치

주요 신문사들이 최근 디지털 수익사업 다각화라는 명분으로 잇달아 초판(가판) 서비스를 재개하고 있다.
종합지들은 지난 2001년 중앙일보를 시작으로 2005년 조선일보, 경향신문, 동아일보, 한겨레, 세계일보 등이 신문용 가판을 폐지했다. 종이신문 중복 인쇄에 따른 낭비를 없애는 것은 물론 정부·기업의 기사로비 창구로 활용되는 것을 막고 기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서다.


하지만 지난해부터 뉴스콘텐츠 유료화와 맞물려 주요 신문사들이 잇달아 PC·모바일 등에서 볼 수 있는 디지털 초판 서비스를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있다. 실제 지난해 매일경제(매경e신문 ‘미리 보는 매일경제’), 한국경제(한경플러스 초판서비스), 조선일보(조선일보 Early Edition), 경향신문(경향신문 초판서비스) 등에 이어 서울신문(4월·디지털초판), 국민일보(9월·K-PLUS), 세계일보(10월·M-Paper)도 디지털 초판 서비스 경쟁에 합류했다.


중앙일보도 중앙미디어그룹 30개 매체를 PC·모바일·태블릿에서 유료로 볼 수 있는 디지털뉴스스탠드 서비스 출시가 연기되면서 관련 논의도 지연됐지만, 디지털 초판서비스 출시를 검토하고 있다. 서울, 매경, 한경을 제외하고 가판 발행으로 발생하는 부작용 탓에 폐지했던 것을 디지털 부문의 매출 증대를 위해 부활시킨 것.


이들 서비스의 가격은 한 구좌당 월 10만원(경향 월 20만원)으로, 개인 독자보단 기업과 관공서 등을 주 타깃으로 하고 있다.


▲주요 신문사들이 지난해부터 디지털 부문의 수익확대를 위해 디지털 초판서비스를 잇달아 내놓고 있다.

각 사마다 차이가 있지만 적게 100여개에서 1000여개 계좌를 개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금액으로 환산할 경우 연간 1억2000만~12억원인데, 신문사 입장에선 추가 비용 없이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셈이다.


관련 사업을 담당하는 한 신문사 고위 간부는 “그동안 신탁 판매했던 것을 가져와 자체 기술로 디지털 초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며 “관공서를 중심으로 기본 들어갈 수 있는 구좌 수는 100~200개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일부 신문사는 인센티브 지급을 내걸고 디지털 초판 회원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디지털 가판 서비스가 기사와 광고를 맞바꾸기 위해 만들어진 것은 아니지만 이를 바라보는 시선은 곱지만은 않다.


실제 한겨레는 지난 2011년 가판서비스를 통해 특정기사가 경쟁매체나 이해 당사자들에게 유출되고, 신문의 완성도도 떨어진다는 사내 여론에 따라 PDF초판 서비스를 중단했다.


특히 디지털초판 서비스에 대한 구독료 역시 광고예산에서 집행되는 것이기 때문에 신문사 수익에도 큰 도움이 되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기업 홍보 예산 특성상 각 신문사에 배정된 광고예산이 초판 구독료로 전환되기 때문에 ‘아랫돌 빼서 윗돌 괴기’식이라는 것.


한 대기업 임원은 “많은 매체들이 종이부수 구독에다 최근엔 디지털초판 서비스 회원 가입을 요청한다”면서 “하지만 불경기 탓에 홍보예산이 줄어들었기 때문에 들어오는 요청을 다 받아들일 수는 없다”고 말했다.


반면 신문사 입장에선 매출 압박 탓에 새로운 사업을 발굴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 경제신문 관계자는 “디지털 초판서비스는 보유 콘텐츠를 디지타이징(전산화)했다는 의미와 함께 디지털 마케팅을 본격화한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면서도 “하지만 지면보기 상품 외에 별도의 디지털 상품을 내놓기 어려운 내부 여건도 감안한 것”이라고 밝혔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