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말말말
|
“사과와 대안은 별개…박근혜 대통령의 대국민 담화에는 세월호 참사가 정부 책임이라는 것을 스스로 인정하고, 어떠한 책임도 달게 받겠다는 진심어린 사과가 필요하다.” -박영선 새정치민주연합 원내대표가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이번 사건에서 정부가 가장 큰 책임자이고 가해자”라며 “가해자가 대안을 만든다는 것은 원칙에 맞지도 않고 어불성설”이라고 비판하며 한 말.
“하여튼 이번에 땜질식은 안 되지 않겠는가.” -14일 국회 안전행정위원회에서 강병규 안전행정부 장관에게 사퇴하라고 호통을 친 서청원 새누리당 의원이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세월호 사태 수습 후 큰 폭의 개각이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면서 한 말.
“지역에 따라서 독자노선을 걷는 데가 있고 또 부분적으로 선거연대를 하는 곳도 있을 것.” -6·4지방선거를 앞두고 정의당 선거대책위원회에 합류, SNS 공감위원장을 맡고 있는 진중권 동양대 교수가 MBC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새정치민주연합과의 연대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 정치적 연대는 가능하되 각자 지역에서 판단할 문제라며 한 말.
“지금 평가하기는 이르지만 어쨌든 해결의 의지를 갖고 계시다니 기대하고 있고, 실질적인 대화 테이블을 마련하고 거기서 피해자 가족들과 반올림과 협상을 통해서 조속히 문제가 해결되는 절차가 남아있다.” -삼성전자가 반도체 공장에서 근무하다 백혈병에 걸린 당사자와 가족에게 사과를 표명하고 합당한 보상을 하겠다고 밝힌데 대해 삼성 직업병 문제 해결을 촉구해온 심상정 정의당 원내대표가 YTN ‘신율의 출발 새 아침’에 출연해 한 말.
|
세월호 참사 이후 첫 국회 안전행정위원회가 14일 열렸다. 세월호 사고에 대한 안전행정부의 보고를 듣는 자리에서 강병규 장관은 “실수가 컸다” “송구하다” “부끄럽다”며 무책임한 변명만 늘어놔 여야 의원들의 호통을 샀다. 여당의 친박 중진 의원도 장관에서 “당장 사표 내라”며 자리를 박차고 나갔다.
이날 안행위 회의에서 진선미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은 세월호 사고 당일 소방방재청 119상황실과 목포 해경간의 통화기록을 공개했다. 소방방재청이 ‘높은 사람’ 의전을 신경 쓰느라 해경의 구조 활동을 방해했다는 내용이다. 녹취록에는 119 상황실이 사고 해역에서 구조돼 인근 서거차도에서 응급조치 중이던 생존자들을 고위 공직자들이 방문할 팽목항으로 데려오라고 종용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진 의원은 녹취록을 공개하면서 눈물을 보이기도 했다.
|
 |
|
|
|
▲ 14일 오전 세월호 참사 현안보고가 열린 서울 여의도 국회 안전행정위원회 회의실에서 강병규 안전행정부장관이 현안보고를 하고 있다.(뉴시스) |
|
|
소방방재청에선 “보건복지부의 재난의료팀과 중앙구조본부의 구조팀 같은 그런 인력이 지금 중앙에서 내려오고 있는데 어디로 가느냐는 의미로 얘기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그러나 진 의원은 15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의전 때문이었다면 정말 큰 문제고, 소방방재청의 해명이 사실이라 하더라도 사람들을 구할 수 있는 골든타임에 이렇게 심각한 동문서답이 오간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진 의원은 또 119 통화 내용을 들어보면 이미 배가 침몰했고 인명구조가 잘 안 돼서 심각한 사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알면서도 제대로 청와대까지 보고하지 않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진 의원은 “사고 당일 오전 10시 7분에 해경이 배가 침몰하고 있고 그러면 사람 다 구조했어? 이렇게 묻는데 70명 정도밖에 못 구해서 400명 이상이 아직 구조도 못했다고 답한다. 그러면 사람들이 다 나왔나요? 물으니 아니요, 배 안에서 못 나왔어요, 이런 얘기들을 오전 10시 7분에서 10시 45분에 서로 주고받았다”면서 “그런데 그 얘기들이 정말 중요한 청와대나 안행부에 보고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래서 오전 11시께 전원 구조됐다는 오보가 나고 청와대에도 인명피해가 없다는 보고가 올라갔다는 것이다.
진 의원은 또 안행부가 세월호 사고를 언론 보도를 보고서야 알았다는 점도 지적했다. 진 의원은 “안행부에서 오전 9시 16분에 YTN 속보를 보고 놀라서 해경에 전화해서 알았다”며 “본인들이 인정했다”고 전했다.
세월호 사고와 관련한 정부의 늑장대응, 무책임한 대응에 대해서는 여야 할 것 없이 매섭게 질타하고 있다. 그러나 진상 규명과 후속 대책 마련 방안 등에 대해서는 여야가 이견을 보이고 있다.
여야 원내대표는 15일 회동을 갖고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국정조사 실시 등 진상규명 방안을 협의하기로 했다. 야당에서는 국정조사와 별개로 청문회, 특검, 특별법 제정 등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자고 주장하고 있지만, 여당은 미온적인 반응이다.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는 KBS ‘안녕하십니까 홍지명입니다’에 출연해 “한두 달 이내에 국정조사도 하고, 국정감사도 하고, 특별검사도 하고, 특별위원회도 하고, 상임위원회도 열고, 청문회도 열고, 내내 그 사람이 그 사람일텐데 이게 과연 효과적이냐”고 말했다.
그러나 박영선 새정치연합 원내대표는 국정조사와 청문회, 특검이 모두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원내대표는 PBC ‘열린세상 오늘 서종빈입니다’에 출연해 “단계적으로 접근할 생각”이라며 “이번 주는 관련 상임위에서부터 기초적인 자료에 대한 보고와 일문일답이 이뤄졌고, 다음 주엔 이들을 통합해서 긴급현안질문을 한 뒤, 상임위와 긴급 현안 질문을 통해 나온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국정조사에 들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대안을 만드는 문제는 국회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면서 “이번 사건에서 정부가 책임자이고 큰 범위의 가해자다. 가해자가 대안을 만든다는 것은 원칙에 맞지도 않고 어불성설이기 때문에 이 문제는 국회가 나설 수밖에 없고, 국회에서 대안을 만드는 것이 맞다”고 밝혔다.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