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선관위, 불법선거 의혹 조사' 댓글 알바 부대 실체 확인 계기
제268회 이달의 기자상 심사평 / 기자상 심사위원회
기자상 심사위원회
webmaster@journalist.or.kr
2013.02.06 15:04:31
전주MBC ‘마블링의 음모’ 참신한 기획 아이디어 호평모든 것을 빨아들이는 대통령 선거 때문이었는지 출품작이 취재보도 부문 7건을 비롯해 모두 33건으로 평소에 비해 적었다. 예심을 통과한 작품도 과소해 심사위는 기준을 0.1점 낮춰 본심에 올렸으나 역시 수상작은 지난달에 이어 4건에 그치고 말았다. 대선 때였던 만큼 대선 관련 출품작이 취재, 기획을 망라해 6건에 이르렀으나 수상작은 1건에 머물렀다. 수상작 4건 중 3건을 지역 대상 매체가 차지해 전국 대상 매체를 압도한 것도 2012년 마지막 ‘이달의 기자상’ 심사 결과의 특징 중 하나다.
취재보도 부문에서 KBS의 ‘선관위, 새누리당 불법선거 의혹 조사’는 특별한 돌발변수나 쟁점이 많지 않았던 지난 대선의 공식 선거운동기간에 큰 파장을 일으킨 사안을 단독보도한 점을 높이 평가받아 수상작으로 선정됐다. 출품자는 제보를 받고 여러 차례 현장 답사를 통해 사실일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서울시 선거관리위원회에 신고한 후 선관위의 단속 현장을 동행취재했다. 제보를 무시했더라면 묻혀버렸을 수도 있는 큰 불법을 드러낸 것이다. 대선 기간에 의혹이 무성하던 새누리당의 ‘댓글 알바 부대’의 실체를 확인시킨 계기가 되기도 했다.
한 심사위원은 이 기사가 당시 KBS 뉴스시간에 16번째에 보도된 점을 찾아내 뉴스가치 판단에 문제점을 지적했다. 불법선거 사무실과 ‘댓글 알바 부대’의 관계가 언급되지 않는 등 후속 취재가 미흡한 점 역시 아쉬운 점으로 거론됐다. 그러나 “현실을 감안할 때 KBS가 오랜만에 공영방송으로서의 책무를 다한 보도”라는 데 평가가 일치했다. ‘이달의 기자상’은 그 평가의 큰 몫이 마땅히 취재한 기자의 것이라는 뜻이다.
같은 부문에서 경향신문의 ‘로그기록도 안 본 경찰, 토론회 직후 기습발표’도 대선 막바지에 큰 쟁점이었던 국가정보원 여직원 사건에 대한 경찰의 성급한 중간 수사결과 발표의 문제점을 제대로 다뤘다는 호평을 받았다. 특히 마감이 임박한 시간임에도 경찰의 결정적 ‘하자’를 정확히 짚어낸 차별성과 전문가의 의견으로 논지를 뒷받침한 취재 기동력이 놀랍다는 찬탄도 나왔으나 아깝게 탈락했다.
기획보도 부문에서 역시 대선을 다룬 한겨레신문의 ‘2012 대선만인보-국토종단 민심기행’과 KBS의 ‘대선특별기획 2부작, 대선후보를 말한다’ 둘 다 틀에 박힌 대선 보도 형태를 벗어나려는 새로운 시도라는 점에서 비교적 높은 점수를 받았으나 수상엔 실패했다.
지역경제보도 부문에서 유일한 출품작이자 수상작인 전주MBC의 ‘육식의 반란-마블링의 음모’에 대해선 한우 사육 농가가 많은 농촌지역에서 정면으로 문제를 제기하기 어려운 사안을 다룬 용기에 우선 칭찬이 쏟아졌다. ‘좋은 고기’가 무엇이냐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한 보도로 기획 아이디어가 좋았다는 평가도 따랐다.
지역기획 신문부문 수상작인 한라일보의 ‘제주바당 조간대를 가다’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기관들과 협력해 제주섬 해양생태계의 ‘최전선’인 조간대(만조 때 해안선과 간조 때 해안선 사이 부분)를 장기에 걸쳐 꼼꼼하고 입체적으로 새롭게 조명한 수작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지역기획 방송부문에서 수상한 KBS춘천의 ‘0.008%…그들만의 자치’는 무엇보다 “전국 매체가 할 일을 지역 매체가 했다”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전국 차원의 실증적 자료 수집과 분석에 들인 품이 인정받았다. 일부 위원은 소재의 참신성에 낮은 평점을 줬고, 또 이미 각 지역에서 보도된 비리, 비위 사례가 출품작에 많이 포함된 점도 지적했다. 그러나 지방자치에 대한 ‘중앙 언론’의 무관심을 새삼 깨닫는 것으로 시작된 기자의 관심은 전국 지방정치인의 부정부패 지도와 그 원인 분석지표 등을 만들어냈다. “대한민국에 하나뿐인 제작진만의 독창적인 창작물”이라는 출품자의 자평을 심사위원들은 인정했다.
제267회 이달의 기자상 ‘취재보도부문’ 후보로 출품됐던 경향신문의 ‘북한 인권, 진보와 보수를 넘어’ 연작 기획기사에 대해 한국기자협회 경향신문 지회장이 ‘기획보도’ 부문으로 추천해야할 것을 잘못 기재했던 것이라며 재평가해줄 것을 요청해왔다. 심사위에선 경향신문이 8개월 이상 기획과 취재를 통해 북한의 인권문제에 대한 구조적 접근을 시도했던 점에 비춰 해당 기사가 ‘기획보도’ 부문에서 심사를 받았더라면 더 나은 점수를 받을 수도 있었겠지만 재심사 사유는 아니라는 데 의견이 모아졌다.
기자상 심사위원회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