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말할 것도 없이” “당연히”의 뜻을 지닌 부사 ‘으레’를 ‘의례‘ ‘의레’ ‘으례‘ ‘으레히’ ‘으레껏’ 등으로 쓰는 일이 흔하다. 그러나 이들 말은 죄다 바른말이 아니다.
‘으레’는 예전에 ‘으례‘로 쓰던 말이다. 그러던 것을 1988년 표준어 사정에서 ‘모음의 단순한 형태’를 취하여 ‘으레’만을 바른말로 삼고, 나머지는 모두 버리기로 하였다.
특히 앞의 틀린 말 가운데 ‘으레히’ ‘으레껏’은 그 쓰임의 빈도가 높으나 ‘으레히’의 경우 ‘으레’만으로 충분한 말에 쓸데없이 접미사 ‘히’가 덧붙은 것이고, ‘으레껏’ 역시 불필요한 접미사 ‘-껏’이 덧붙은 말로 바른말이 아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으레’는 부사인데, 부사는 그 모양을 바꾸지 않는 특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 앞에서 틀린 말의 예로 든 ‘의례‘는 ‘의전례(依前例·전례에 의함)’의 준말, “형식을 갖춘 예의”를 뜻하는 ‘儀禮’로 쓰일 때는 바른말이나 “그 일은 ‘당연히’ 내가 할 일이다”의 ‘당연히’를 대신할 수는 없다.
결론적으로 ‘당연히’란 의미로 쓸 때, 즉 “일요일 설거지는 ○○ 내 몫이었다” “겨울철 김장은 ○○ 해오던 일이다” 등의 예문에서 ○○에 들어갈 바른말은 ‘으레’ 하나뿐이고, 이와 비슷한 꼴의 말은 모두 틀린 말이다. `<한국교열기자협회 제공>
교열기자협회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