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홍보처 결국 폐지

8년 9개월만에…문화부로 흡수

  • 페이스북
  • 트위치

   
 
  ▲ 29일 오전 국정홍보처가 공식적으로 폐지되는 가운데 서울 정부중앙청사 홍보처 복도에 취재진들만 가득하다.(=뉴시스)  

국정홍보처가 29일 정부조직 개편안이 관보에 실려 정식 공포되면서 폐지됐다. 김대중 정부 때인 1999년 5월 설립된 지 8년 9개월 만이다.

홍보처 조직은 외형상 문화체육관광부로 흡수된다. 하지만 실제로는 정부부처 간 정책홍보 조정·협의 업무와 정부홍보 기능은 모두 폐지되고 해외홍보 기능만 문화부로 이관됐다.

홍보처 폐지로 3백40여명의 직원은 뿔뿔이 흩어지게 됐다. 일반직 공무원 2백여명은 국가공무원법에 따라 공무원 신분은 계속 보장된다. 반면 별정직 공무원 1백33명은 업무가 6개월 이상 없으면 옷을 벗어야 한다.

국정홍보처의 시초는 1948년 정부 출범과 함께 신설된 공보처다. 박정희 정권 때는 공보부-문화공보부로 변경됐고, 6공 때인 90년 1월 문화공보부에서 공보처가 분리 신설돼 문민정부 때까지 존속했으나 김대중 정부가 들어서면서 변화를 맞는다.

김대중 정부는 98년 2월 공보처를 폐지하는 대신 총리직속 공보실을 설치해 홍보기능을 대행토록 했고, 공보처 소속의 해외문화홍보원을 문화관광부 소속으로 옮겼다. 그러다가 1년여 만인 99년 5월 국정홍보처를 신설하면서 문광부 소속의 해외홍보원과 국립영상간행물제작소를 홍보처에 편입했다.

이후 홍보처는 참여정부 출범 이후 1실 4단 20개 팀이라는 방대한 조직으로 거듭났다. 홍보처는 지난해 기자실 통폐합 방안인 ‘취재지원 선진화 방안’을 밀어붙이며 언론과 대립하다 결국 문을 닫았다.

국정홍보처 한 관계자는 “부처가 없어져 참담하고 비참한 심정”이라며 “신분 불안을 느끼는 직원들이 많다”고 말했다. 김성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