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소야대(與小野大)' 국회가 16년만에 탄생했다. 13일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결과 더불어민주당이 전체 지역구 253석 중 110석을 거머쥐며 새누리당을 제치고 원내 제1당이 됐다. 새누리당은 105곳, 국민의당 25곳, 정의당 2곳, 무소속은 11곳에서 당선자를 냈다.
정당별 득표에 따라 비례대표는 새누리당 17석, 더민주 13석, 국민의당 13석, 정의당이 4석을 차지했다. 최종 의석수는 더불어민주당 123석, 새누리당 122석, 국민의당 38석, 정의당 6석, 무소속 11석으로 나타났다.
14일 종합일간지들은 여야 대표, 주요 당선자·낙선자 모습을 1면 사진에 담고 총선 결과를 분석해 보도했다.
경향신문은 "새누리당이…참패를 당하면서 지난 3년여간 박근혜 정부의 일방통행식 국정 운영과 민주주의 역행, 경제 실정 등에 대해 민심이 준엄한 심판을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박 대통령이 제기해온 야당 심판론과 총선 직전 격전지 방문 등 선거개입이 역풍을 받은 것으로 풀이된다. 공천 과정의 '막장 행태'에 여권 지지층이 이탈한 것도 참패의 원인으로 분석된다"고 전했다.
국민일보는 "'오만한 공천'을 했던 여당에 국민들이 쓰라린 패배를 안긴 것이다. 기존 정치권에 대한 국민의 혐오는 국민의당이 대약진하는 '녹색돌풍'으로 이어졌고, 16년 만에 '여소야대(與小野大)' 국회를 만들었다"며 "'선거의 여왕'으로 불리며 전국단위 선거에서 매번 승리를 이끌었던 박 대통령으로선 이번 총선 결과는 적지 않은 타격이 될 수밖에 없게 됐다. 일각에서는 집권 4년차를 맞은 박 대통령의 레임덕 현상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것 아니냐는 시각도 나온다"고 했다.
동아일보는 "4·13총선을 명실상부한 '심판 투표'였다. 여권의 오만에 대한 응징이었고, 더불어민주당 내 '친노 패권주의'에 대한 경고였다. 새누리당은 과반 붕괴를 넘어 노무현 전 대통령 탄핵 직후 치른 2004년 17대 총선(당시 121석 획득) 때와 같은 '명백한 악재'가 없었음에도 민심은 사실상 새누리당을 심판한 셈"이라며 "내년 대선 지형도 크게 흔들릴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당 안철수 상임공동대표가 대선 경쟁에서 한 발짝 앞서갈 여건을 만든 가운데 김부겸, 무소속 유승민 당선자 등의 행보도 주목된다"고 보도했다.
서울신문은 "4·13 총선에서 유권자들이 당초 정치권의 예상을 뒤엎는 '한 표의 힘'을 유감없이 발휘했다. 유권자들에 의한 '선거 혁명'이자 반목과 갈등에서 벗어나 대화와 타협의 정치를 하라는 강력한 요구로 해석된다"며 "박근혜 정부의 국정 운영에도 적잖은 충격파가 우려된다. 공천 과정에서 불거진 잡음 등이 패인으로 분석된다. 새누리당은 지도부 책임론이 제기되는 등 혼란으로 빠져들 것으로 보인다. '정권 심판론'을 앞세워 여권을 압박했던 야권은 정국 주도권을 쥘 것으로 예상된다"고 했다.
조선일보는 "국민의당 약진은 총선 이후 정국에서 상당한 변수가 될 전망이다. 여야를 아우르는 정계 개편의 주축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예측도 나온다. 야권의 차기 대선 주자 중에서는 안철수 대표가 상승세를 타게 됐고, 선두를 지켜왔던 더민주 문재인 전 대표도 영향력을 유지하게 됐다"며 "이번 총선 패배로 임기 4년 차를 맞은 박근혜 대통령은 국정 운영 동력이 떨어지게 됐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더 심각한 문제는 차기 대선 대책이 거의 없어졌다는 것"이라고 했다"고 보도했다.
한겨레는 "'오만한 정권 심판'과 '제1야당의 선전', '제3당의 약진'이라는 매서운 민심은 박근혜 대통령의 남은 임기 국정운영에 제동을 걸고, 내년 대선을 앞둔 정치권 구도에도 역동성을 더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회 심판론'과 '진실한 사람 선택'을 내걸며 선거전에 나섰던 박근혜 대통령은, 그 자신이 심판 대상이 된 선거 결과를 받아듦으로써 '레임덕'이 가속화할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했다.
한국일보는 "총선 결과는 집권 세력에 대한 국민의 준엄한 '심판'이었다. 국민이 박근혜 대통령과 여당에게 '이대론 안 된다'는 경고를 표로 보낸 결과"라며 "16년 만에 여소야대 정국이 열리게 됐다. 국민은 '여당은 영남', ‘더불어민주당은 호남'이란 지역주의도 무너뜨렸다"고 보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