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교도소에서 동생이 죽었습니다.” 지난 8월18~19일 두 통의 전화로 취재는 시작됐다. 이틀 사이에 부산교도소에서 두 명의 재소자가 하늘로 출소했다. 교도소는 자신들도 당황스럽고 예상하지 못한 죽음이라고 수차례 말했다. 교도소 의무기록, 병원 기록, 재소자의 교도 일지 등은 두 재소자가 살 수 있었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었다.
한 달여간의 보도로 부산교도소장은 전격 교체됐다. 국가인권위원회, 법무부도 두 재소자 사망 사건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다. 유가족들은 국가를 상대로 한 민사소송을 준비 중이다.
‘부산일보의 보도 이후 교도소는 그나마 조금 나아졌습니다.’ 회사에는 1주일에 3~4통가량의 편지가 교도소로부터 온다. 교도소 재소자, 재소자 가족들이 교도소의 상황을 알리는 편지다.
전화, 편지에는 한 가지 전제가 항상 달려 있다. 취재팀의 보도 이후 교도소는 변했다는 것이다. 외진도 자주 보내주고 교도관들이 재소자들 몸상태도 더 자주 확인한다고 한다.
그들의 감사 인사에 교정 행정이 개선됐다고 마냥 보람을 느낄 수도 없다. 그동안 교도소에서 최소한의 것들이 얼마나 지켜지지 않았는지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두 재소자의 죽음이 헛된 죽음이 되지 않기 위해 교정 행정은 아직도 많은 감시와 변화가 필요하다. 교도소는 죽으러 가는 곳이 아니기에, 그래도 되는 죽음은 없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