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기청정기·에어컨 필터서 살균제 OIT 검출…전량회수 권고

제311회 이달의 기자상 취재보도2부문 / 남재현 MBC 기자

공포의 작동원리는 간단합니다. 막연한 걱정과 두려움을 먹고 삽니다. 이해할 수 있는 충분한 설명이 뒤따르지 않으면 공포는 쉽사리 깨지지 않습니다. 이번 역시, 기업이나 정부 누구도 그 설명을 제대로 해 주지 못했습니다.


당장 검증해야 할 유독물질만 수백 가지. 환경부에 등록된 것만 1천 가지가 넘습니다. OIT가 미국에서 면역 독성물질로 지정된 게 이미 우리보다 40여년 앞선 지난 1971년이었습니다. EU 역시 OIT를 피부 부식성과 과민성 물질로 분류해 엄격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유독물질로 지정된 건 불과 2년 전인 2014년입니다. 정부가 주도적으로 유독물질을 통제할 수 없다는 한계가 또다시 확인된 겁니다.


선진국에선 제품을 팔기 전 기업이 스스로 안전성을 입증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아직 그런 시스템이 없습니다. 적은 비용으로 더 많은 제품을, 더 빨리 만들고 싶어하는 기업의 본능 같은 속성을 또 한 번 견제하지 못했던 겁니다.


목표는 거창했지만 부족함과 아쉬움이 많았던 기사였습니다. 제품을 산 소비자들은 대부분 좀 더 돈을 주더라도 세계적인 기업들의 브랜드를 믿고 제품을 샀다는 사람들이었습니다. 보도가 나간 뒤 교환이나 환불을 약속했던 기업들이 계속 말을 바꾸고 있다는 제보가 여전히 들어오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신뢰를 또다시 저버리지 않기를 바랍니다. 저희도 후속보도를 게을리하지 않겠습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