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교육은 결코 정쟁이나 이념대립에 의해 국민을 가르고 학생들을 나누어선 안된다.”(박근혜 대통령) “(이념적으로) 편향된 교육을 받게 해선 안된다.”(새누리당 김무성 대표)
지난 10월 정부와 여당이 한국사 교과서의 국정화 방침을 공식화하며 내세운 대표적인 주장이다. 즉 현행 검인정 교과서는 ‘이념 편향성’을 보이고 있으니 국정화가 불가피하다는 거다.
실제 국정화 드라이브가 본격화하면서 보수와 진보 진영간 격렬한 공방이 벌어졌다. 언론도 ‘검인정 교과서가 과연 편향성을 보이는가’를 집중 검증하며 국민의 이해를 도왔다.
하지만 여전히 남는 의문. 그건 정부 여당이 ‘이념 편향성’ 논란을 극복하기 위해 국정화를 한다고 했는데, 그렇다면 국정교과서가 이념 편향성이 없는, 대안인가 하는 점이었다.
그렇다고 “친일미화 유신독재 교과서”가 될 거라는 야당의 비판은 아직 책이 나오지 않았다는 점에서 합리적 지지를 얻기 어려운 상황.
과연 국정교과서가 되면 이념 편향성을 극복할 수 있을까. 정부 여당의 논리적 귀결에 대한 검증이 불가피했다.
그래서 세계일보 국회팀은 국정 국사교과서와 관련한 논문 수십편을 토대로 1974년부터 2006년까지 편찬된 국정 국사교과서(고교) 7종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국정 교과서가 집필 당시 정권에 따라 주요 사건 사고를 전혀 다르게 평가 기술하는 지독한 ‘정권 편향성’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첫 국정이자 ‘유신 교과서’로 불린 1974년판 고교 국사의 집필자 윤병석 교수의 증언록을 입수해 왜 국정교과서가 ‘정권 편향성’을 보일 수밖에 없는가를 세상에 드러낼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