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함 비리 의혹

제290회 이달의 기자상 취재보도1 / 국민일보 임성수 기자

4월16일 진도 앞바다에 세월호가 기우뚱하게 반쯤 잠겨있는 화면을 국회에서 봤다. ‘전원구조’라는 속보를 기자도 당연한 사실로 받아들였다. 동료들에게 “요즘이 어떤 시대인데 구하지 못하겠느냐”고도 했다. 경박한 호언장담이었다. 전원구조가 터무니없는 오보로 판명되기까지는 하루도 걸리지 않았다. 미안하고 부끄러웠다.


참사가 불러온 슬픔이 ‘우리는 왜 이렇게 무기력했나’를 따져 묻는 분노로 바뀌어 가던 때, ‘최신식 해군 구조함’이라는 통영함이 눈에 들어왔다. 붉어진 눈으로 뉴스를 보던 아내가 “저 비싼 배는 왜 현장 근처에 가지도 못했냐”고 물어본 것이 출발점이었다. 어선까지 총동원돼 학생들을 구하던 상황에서도 “일부 장비가 문제가 있어 현장에 가지 못했다”는 국방부의 당당한 태도는 취재의욕에 불을 붙였다. 


뭉툭했던 문제의식은 새정치민주연합 김광진 의원실과 협업으로 점점 뾰족해졌다. ‘통영함 문제 장비 관련 일체 자료 요구’로 시작됐던 취재도 구체적이고 세밀해졌다. 결국 감사원 감사와 대대적인 검찰 수사가 진행되면서 통영함과 함께 가라앉을 뻔 했던 비리들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취재도 계속되고 있다.


일어나지 말았어야 할 참사 때문에 큰 상을 받게 됐다. 기자라는 직업의 엄중함을 다시 생각한다.
부족했던 기사에 공감해준 정치부장, 편집국 선·후배들에게 감사드린다. 든든한 지원을 아끼지 않은 김광진 의원과 강동기 보좌관이 없었다면 통영함 비리는 세상에 알려지기 어려웠을 것이다. 세월호 유가족의 마음에 하루 빨리 평안이 깃들길 기도한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