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 운전기사까지 월급 주는 회사가 어디 있나?"

뉴시스 장재국 고문 횡령혐의로 고발한 최한규 노조 비대위원장


   
 
   
 
뉴시스 노조 비상대책위원회가 7일 장재국 뉴시스 고문을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에 관한 법률상 횡령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최한규 비대위원장을 비롯해 뉴시스 구성원 80여명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동 서울중앙지검에 고발장을 접수했다.

최 위원장은 “구성원들은 박봉과 열악한 취재환경에서도 국내 첫 민영통신사로서 소명을 다하려고 뛰고 있는데 부도덕한 경영진들은 횡령 등 온갖 비리를 저지르며 뉴시스를 존폐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고 말했다.

-장재국 고문 등 4명을 검찰에 고발한 이유는?
“뉴시스 자금을 불법적으로 빼돌리는 정황을 발견했다. 비대위가 지난해 뉴시스의 세무조정계산서를 입수했는데, 가지급금 명목으로 장 고문 2억4000만원, 대표이사 5000만원, 안중관 350만원, 임원실 5억1000만원 등 모두 8억원 정도가 지급됐다. 용도와 출처를 명시하지 않은 가지급금의 회계 처리는 범죄 혐의가 짙다. 특히 장 고문은 한국일보 대표이사로 재직할 때 가지급금 명목으로 66억원을 횡령해 대법원에서 유죄 최종 확정 판결을 받은 전력이 있다.”

-장 고문이 근무도 하지 않은 측근들에게 급여를 지급했다고 하는데.
“뉴시스 급여대장을 살펴봤는데 장 고문은 물론이고 근무조차 하지 않은 장 고문 측근들에게 급여가 나가고 있었다. 장 고문에게 545만원, 법인카드 800만원, 접대비 240만원 등 매달 1585만원이 지급되고 벤츠 600 차량과 현대 i30 차량도 지원되고 있다. 또한 고모(매달 100만원), 배모(매달 200만원), 장모(매달 335만원, 법인카드 300만원), 최모(매달 200만원), 권모(매달 200만원), 박모(매달 210만원)씨 등 장 고문 측근들에게 한 달에 1245만원이 나갔다. 특히 박모씨는 노조 비대위가 파악하기론 장 고문 부인의 운전기사다. 취재비도 제대로 지급하지 못하는 회사에서 부인 운전기사에게 급여가 나간다는 것은 말이 안된다.”

-장 고문과 뉴시스를 공동 경영했던 이종승 회장은 책임이 없나?
“뉴시스는 2011년 9월 이후 ‘이종승-안중관’ 공동대표이사 체제로 운영돼 왔다. 이종승 회장이 편집과 마케팅, 장 고문의 측근 안중관 부사장이 자금과 회계를 맡았다. 뉴시스의 각종 지출 결의서는 장 고문의 측근 라인을 따라 안 부사장이 최종 결재했다. 공동 대표이사인 이종승 회장조차 지출 내역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

최근 장 고문과 이 회장은 경영권 다툼을 벌이고 있다. 장 고문은 지난 5월 이 회장을 뉴시스 대표이사에서 해임했고, 이에 맞서 이 회장은 대표이사직 지위보전 가처분신청을 내고 장 고문을 사기 혐의로 검찰에 고발했다.

-언론사 주식이 어떻게 은행에 담보로 잡혔나?
“장 고문이 광릉레저개발(광릉CC)이 지고 있던 160억원의 채권 은행에 대한 담보로 지난해 5월과 올 2월 두 차례에 걸쳐 뉴시스 주식 36%를 우선매수권 행사를 조건으로 제공했다. 은행 측은 최근 공문을 보내 이달 14일까지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않으면 제3자에게 매각하겠다고 통보했다.”

장재국 고문은 형식적으로 뉴시스 주식을 1주도 보유하지 않고 있다. 하지만 노조 비대위는 장 고문이 측근들을 통해 뉴시스 주식을 차명 보유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실질적인 대주주이기 때문에 매달 1600만원이 급여로 지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장 고문은 2006년 뉴시스를 인수했으나 한국일보 회장 시절 관련된 횡령·배임 사건으로 경영 전면에 나서지 못하고 대리인을 내세워 뉴시스를 경영하고 있다.

-노조 비대위 향후 투쟁은?
“회사 주식을 개인 채무를 갚기 위해 이용하고 이미 퇴사하거나 물러난 측근들에게 봉급과 법인카드를 지급했다. 이런 비리경영진에게 언론을 맡길 수 있을까. 뉴시스 발전을 위해 열악한 여건에서도 묵묵히 제 역할을 다했던 구성원들은 참담한 심정이다. 비리경영인이 퇴출될 때까지 끝까지 싸울 것이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