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SNS' 박원순 서울시장 비하 글

제274회 이달의 기자상 취재보도1 / YTN 이승현 기자


   
 
  ▲ YTN 이승현 기자  
 
국정원 정치 개입 의혹을 수사한 검찰은 유독 ‘인터넷 댓글’을 강조했습니다. 트위터 등 SNS에 대해서는 수사의 본류가 아니라며 선을 그었습니다. 그 무렵 인터넷에서는 검찰 수사선상에 올라 있는 인터넷 사이트에 댓글을 단 사람이 트위터에도 활동하고 있다는 소문이 파다했습니다.

그 때 떠오른 것이 이른바 ‘빅 데이터’ 분석이었습니다. 아무런 의미가 없는 데이터 집합 속에서 의미를 찾는 빅 데이터 분석을 통해 단서를 잡을 수 있을 거라 판단했습니다. 국내 수십 개 업체와 접촉을 했고, 긴 설득 끝에 한 곳에서 취재 협조를 이끌어 냈습니다.

먼저 의심 계정을 분류했습니다. 지난해 9~12월 선거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트위터 글을 분류했고, 이 가운데 국정원 의심 댓글과 유사한 글들을 확보했습니다. 특히 ‘국정원 댓글녀’ 사건이 발생한 날 트위터에서 집단 탈퇴해 삭제된 계정에 주목했습니다. 그리고 선별된 10개 계정을 ‘국정원 의심 계정’으로 분류했습니다.

이번에는 의심계정 10개가 국내 정치에 관여한 정황이 있는지를 분석해보기로 했습니다. 이들이 올린 글을 ‘박원순 문건’과 ‘반값 등록금’문건에 나온 키워드를 중심으로 다시 복원했습니다. 분석 결과 특이 사항이 포착됐습니다. 해당 의심 계정이 올린 글은 같은 시각에 수십 개, 많게는 150개가 동시에 리트윗돼 전파된 것입니다.

하지만 정치권과 검찰에 보도로 인한 파장이 이어질 그 때, ‘국정원 리포트’는 방송이 돌연 중단됩니다. ‘내용이 어렵고, 애매하다’는 이유였습니다. 해묵은 노사 갈등이 다시금 확인됐습니다. 여기에 더해, YTN 기자협회장은 방송 중단 사태 책임을 묻기 위한 보도국장 불신임 투표를 주도했다는 이유로 징계 대상이 됐습니다.

하루하루 발생 기사를 쫓기도 버거운 YTN의 속성상, 한 달 동안 취재를 벌여 팩트를 찾아낸다는 것은 애초부터 욕심이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징계도 불사하고 기사를 지켜주기 위해 애써준 많은 선후배들, 특히 취재 처음부터 끝까지 각을 세워주고 함께 고민해준 법조팀 고한석 반장과 이종원 기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합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