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적 60분 - 19대 국회 땅 보고서
제273회 이달의 기자상 기획보도 방송 / KBS 이병도 기자
KBS 이병도 기자 jak@journalist.or.kr | 입력
2013.07.03 15:03:16
|
 |
|
|
|
▲ KBS 이병도 기자 |
|
|
언론의 제1사명은 권력에 대한 감시다. 뉴스를 단순히 전달하기보다, 권력에 대한 감시와 견제를 통해 언론은 그 역할을 비로소 시작한다는 뜻이다. 수상 후기의 첫 머리를 이렇게 거창한(?) 말로 시작하는 것은 이처럼 자명한 명제에 대해 모두가 동의하지 않는 것이 오늘 대한민국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이런 사람을 많이 보았다. 권력에 대한 감시를 하지 않는 기자는 기자가 아니냐고…. 분명 ‘아니다.’
‘19대 국회 땅 보고서’는 바로 이런 명제에서 시작됐다. 인사 청문회 대상인 고위 공직자에 대한 언론의 검증 보도를 비켜가는 입법부, 그래서 단 한 번도 제대로 검증받지 않은 국회의원들의 도덕성에는 과연 문제가 없을까? 재산 형성 과정에 문제는 없을까? 바로 이런 물음이었다.
KBS 탐사보도팀은 지난해 19대 국회가 개원하며 재산을 신규등록한 직후부터 취재에 돌입했다. 300명 전원의 재산을 엑셀파일로 정리했다. 그 중에서 부동산만을 취재 대상으로 정했다. 객관적으로 취재가 가능한데다 재산 형성 과정의 문제점을 가장 단적으로 드러내주는 것이 부동산이기 때문이었다.
시간은 매우 오래 걸렸다. 300명의 재산을 정리하고 이들이 소유한 부동산 등기부등본을 떼는 데만 몇 달이 걸렸다. 연말 대선까지 겹쳐 결국 취재는 해를 넘겼다. 3월 말 국회의원들이 재산 변동내역을 신고했고, 추가 취재를 통해 보도를 할 수 있었다.
지리정보를 분석하는 GIS기법을 통해 국회의원들이 사들인 땅 대부분이 부동산 가격 급등지역에 위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강원 평창과 홍천, 세종시, 전남 무안과 전북 부안 등 개발 호재가 있었던 곳에 의원들의 땅이 있었다. 전체 분석 토지 715필지 가운데 6배 이상 시세차익을 거둔 땅이 82필지나 됐다. 상당수는 개발 정보를 미리 알고 땅을 샀고, 심지어 기초단체 의원 당시 자신의 땅이 있는 지역의 개발을 독려한 의원도 있었다.
다시 앞으로 돌아가서, 언론의 제1사명은 권력에 대한 감시다. 언론에 성역이 있어서는 안 된다. 지난 5년을 돌이켜보면 언론은 스스로 반성할 점이 많다. 시청자들, 독자들에게 많은 빚을 졌다. 이달의 기자상을 받은 것도 더 열심히 노력해 이 빚을 갚으라는 격려로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이번 취재에서 힘들고 궂은 일을 도맡아 한 후배 공아영 기자에게 수고했다는 말,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