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교통카드 롯데그룹 특혜 의혹

제262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 취재보도 / 인천일보 장지혜 기자


   
 
  ▲ 인천일보 장지혜 기자  
 
“롯데가 사업 조금 더 하겠다는 것 같던데.”
모든 취재는 이 한마디에서 시작됐다.
한해 2800억원 매출을 내는 인천 교통카드 시장을 민간의 영역에 맡기지 않고 공영화 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던 인천시가 아무렇지도 않게 내뱉은 말이다.

교통카드 정산 사업자인 롯데이비카드사가 시의 공영화 전환 방침에도 불구하고 인천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10년 연장 계약을 맺었다는 것이다.
그것도 인천시 모르게, 아직 4년이나 더 남은 만료 기간을 서둘러 10년 늘려놨다.

시는 나름대로 교통카드 사업을 직영하면서 비싼 수수료 요율을 낮추는 한편 투명성과 관리·감독 권한을 높이고 공공성을 확보하겠다는 계획이었지만 사업권을 놓치고 싶지 않은 롯데그룹은 무리를 해서라도 일단 계약을 연장하고 본 것이다.

‘팩트’는 나왔는데 이 상황에 대처하는 인천시의 자세가 영 석연치 않았다.
“롯데가 더 한다니까 공영화는 접어야 하지 않겠나” TF팀까지 꾸려 야심차게 준비하던 공영화 계획을 대수롭지 않게 포기하겠다는 태도를 보였다.

더욱 다양한 각도에서 취재가 시작됐다.
알고보니 롯데이비카드가 우선 10년 연장 계약을 한 이후 재정난으로 사정이 어려운 인천 축구구단 유나이티드에 광고 후원을 약속한 것이다.
대기업 기득권 유지 묵인과 인천시 축구구단 광고비 후원.
둘 사이에선 갓 쪄낸 찐빵처럼 뜨거운 김이 모락모락 피어나고 있었다.

6월 한 달 동안 거의 하루도 빠지지 않고 집중 보도를 했다.
인천시가 롯데이비카드의 광고비 후원이 대가성이 아니라고 부인하는 상황에서 시 자체 감사가 진행됐다.
시민단체는 검찰 고발 계획을 세우기도 했다.

결국 롯데그룹이 시도했던 10년 연장 계약은 인천시버스운송사업조합이 백기를 들면서 무산됐다.
시와 롯데의 연결고리가 알려지지 않았다면 아마도 인천시 교통카드 시장은 앞으로 10년은 더 롯데의 손아귀에서 운영됐을 것이다. 비싼 수수료를 내면서 말이다.

기자는 보도를 통해 불합리한 부분을 시정하고 더 건강한 사회로 발전토록 해야 한다는 대 원칙을 다시 한 번 새겼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