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의 길목을 지켜라, 마음껏 써라, 내가 책임진다"
김영무 아시아경제 편집국장
이대호 기자 dhlee@journalist.or.kr | 입력
2012.02.15 15:21:41
|
 |
|
|
|
▲ 김영무 아시아경제 편집국장 |
|
|
“어느 신문이나 위기가 있기 마련이고 우리가 겪은 것도 바로 그것이다. 중요한 것은 꿋꿋이 이겨내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해 하반기 아시아경제는 위기설에 휩싸였다. 임금체불설과 매각설이 나오더니 급기야 신문발행이 중단됐다는 악성루머까지 번졌다. 사설정보지에도 오르내렸고 출입처에선 타사 기자들끼리 수군거렸다.
지난해 연말부터 편집국을 맡아 사태의 한가운데에 섰던 김영무 편집국장은 당시를 ‘성장통’으로 규정했다. 2006년 제호 변경 후 아시아경제는 계열사 확대와 사옥 건립 등 공격적인 경영으로 빠르게 성장했다. 외형뿐 아니라 신문의 질과 콘텐츠까지 인정받으며 또 하나의 경제지 성공신화를 쓰고 있다는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이면엔 고속 성장에 따른 경영적인 무리수도 차곡차곡 쌓였다.
김 국장은 이 같은 과정을 설명하며 “성장의 사이클상 언젠가 위기는 올 수 밖에 없었다. 수습불가 상태로 악화되기 전에 바닥을 쳤으니 다시 기회가 오는 것도 당연하다”고 말했다.
사실 아시아경제의 위기는 신문에서 온 것이 아니었다. 신문경영은 지난 몇 년간 계속 흑자기조였다. 그런데도 임금체불이 생긴 것은 계열사 지급보증 등 신문 외적인 요인으로 현금유동성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이 고리를 끊는 것이 경영정상화의 지름길이다.
밖에선 당장이라도 무너질 듯 바라봤지만 아시아경제 내부에서는 자구책을 찾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있었다. 기자회가 움직였고 노조가 새로 조직됐다. 결국 지난해 연말 임시주총을 통해 대주주와 대표이사가 동반퇴진해 경영일선에서 물러났다. 경영은 이세정 당시 편집국장이 대표이사를 맡아 구성원들과 함께 책임지기로 했다.
현재 아시아경제는 사옥 부분 매각, 지분 매각 등 다각적인 방법으로 유동성을 확보해 체불임금 등 미지급금을 해결한 상태다. 김 국장은 “새해 들어 자금에 숨통이 트였다. 상반기를 긴장감 속에서 잘 넘기면 곧 정상화 수순에 들어갈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 국장은 아시아경제가 코앞까지 닥친 위기를 넘긴 것은 기자들 덕분이라고 말했다. 그는 “신문 자체에 대한 믿음이 없었으면 기자들이 당시 한창 채용 중이던 종편이나 경쟁사로 떠났을 텐데 인력유출이 거의 없었다”며 “위기에서 확인된 구성원간의 신뢰가 앞으로 아시아경제의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위기 후 아시아경제가 살아있음을 알리기까지 그리 긴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아시아경제는 지난달 26일자 ‘최시중 측 ‘종편 돈봉투’ 돌렸다’라는 단독기사로 최시중 방통위원장이 다음날인 27일 사퇴기자회견을 하는 데 결정타를 날렸다.
김 국장은 1989년 내외경제 복간 공채 1기로 언론계에 입문했다. 이후 2007년까지 내외경제와 그 후신인 헤럴드경제에서 경제기자 및 데스크로 일했다. 2008년 6월 아시아경제에 입사해 증권부장, 산업부장 등을 맡아왔다.
김 국장은 기자들에게 엄하다. 취재와 기사쓰기는 물론 취재원과의 관계, 동료 기자들과의 관계까지 원칙을 꼼꼼히 따진다. 그러면서도 “후배 접대할 준비가 항상 돼 있다”고 말하는 편집국장이다. “사건의 길목을 지켜라. 그리고 마음껏 써라. 뒤는 내가 책임진다.” 요즘 김 국장이 기자들에게 부쩍 강조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