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인시 용인경전철㈜ 비리 의혹
제254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취재보도 / 경기신문 최영재 기자
경기신문 최영재 기자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1.12.07 15:13:23
|
 |
|
|
|
▲ 경기신문 최영재 기자 |
|
|
수상이라는 영광을 안겨준 용인경전철 보도는 검찰수사 및 용인시와 용인경전철㈜의 재협상이 진행 중인 관계로 지금도 취재후기를 쓰기가 조심스러운 미완의 숙제다.
그 숙제를 앞에 두고 기자로서의 길을 더 힘 있게 가라고 격려해 주신 심사위원들과 특히 귀중한 지면을 아낌없이 할애해주신 편집국장 및 선·후배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사실 4년 전 ‘특혜’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는 최초의 실시협약에 대한 문제제기로 시작된 용인경전철 특혜비리 의혹에 대한 첫 보도 이후 용인경전철은 관심의 끈을 놓으려야 놓을 수 없는 ‘기자로서의 의무’와 같은 것이었는지도 모르겠다.
국제중재에 넘겨지고 6개월이 훌쩍 넘은 지난 10월4일 밤 첫 소식을 듣고, 보안을 유지하는 용인시 공무원들과 용인경전철㈜를 탐문 취재하여 확인하게 된 용인경전철과 관련한 국제중재법원의 1단계 판정은 충격 그 자체였다.
취재결과 국제중재법원의 1단계 판정에 의해 용인시가 2011년도 용인시 본예산의 38.9%에 해당하는 5158억9100만원을, 그중에서도 4530억원은 당장 11일까지 지급해야 한다는 내용을 6일자로 단독 보도하게 되었다. 이후 전국 대부분의 유력 언론사들이 일제히 후속보도와 심층보도에 나서면서 용인경전철을 둘러싼 엄청난 반향을 실감했다.
또 4년 전부터 꾸준히 제기한 조사특위 구성과 청문회 실시, 검찰 수사의뢰가 2011년 전격적으로 이뤄지고, 경전철 핵심 관계자에 대한 검찰의 출국금지와 압수수색 등 본격적인 수사가 진행되는 것을 보면서 기사의 힘이 의혹의 진실을 밝히고 세상을 바꾸는 단초가 될 수도 있다는 분명한 사실을 새삼 깨닫게 됐다.
취재를 하고 기사를 쓰면서 지방자치제 부활 20년을 맞는 2011년에 내가 낸 세금이 허투루 쓰여지나 간과하고 지나치는 이들이 많은 현실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됐다. 엄청난 혈세가 투입됨에도 지자체장의 전시성·선심성 정책이 불러온 재정위기 등의 후과를 철저히 검증해야 한다는 교훈을 온 국민이 깨닫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지난 4년간의 기나긴 취재가 혼자만의 외로운 싸움이 아니었다는 위안을 갖게 해줬다.
특히 국제중재판정 이후 머리를 맞대고 위기 타개에 나서야 할 용인시 공무원들이 오히려 자기 자리 지키기에 급급해 시민단체 명의를 도용한 검찰 수사의뢰 사실 여론화를 사주하는 모습을 후속 보도하면서 가야할 길이 멀다는 것을 또 한 번 절실하게 느꼈다.
하지만 아직도 모든 것을 다 쏟아내지 못하고 많은 것들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시민들의 혈세인 용인경전철이 올곧이 용인시민들의 발로 돌아오는 날까지 취재는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