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0억 혈세 투입 광주시내버스 준공영제 긴급진단
제246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기획보도 신문부문 / 전남일보 김성수 기자
전남일보 김성수 기자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1.04.06 14:57:07
| |
 |
|
| |
| |
▲ 전남일보 김성수 기자 |
|
| |
기사를 쓰면서 언제나 아쉬운 점은 의혹은 있지만 실체를 규명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수많은 제보가 쏟아지지만 실체에 접근하기란 쉽지 않다.
광주광역시가 지난 2006년12월부터 도입한 시내버스 준공영제 역시 많은 의혹을 가지고 있었다. 시내버스업자들의 도덕적 해이는 물론 운영상의 허점, 취업 비리 등 지역 언론에서도 시민단체나 노동계의 코멘트를 통해 의혹 기사를 제기했지만 실체, 즉 팩트에는 접근하지 못했다.
‘준공영제’라는 제도 아래서는 버스업체뿐 아니라 내부 직원들 간의 강력한 카르텔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광주시에서 시민들의 세금으로 운전기사의 임금은 물론 사무직 직원들에 대한 월급, 차량 보수비, 보험금 등을 지원해주고 있다. 이 때문에 광주 시내버스 운전기사나 직원들은 사실상 공무원과 다름없는 신분이 됐다. 자신들의 치부를 외부에 공개할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하지만 이들의 강력한 카르텔은 한 제보자에 의해 실체가 드러났다.
지난 1월4일자 ‘시내버스 영상기록장치 말썽’이란 제목의 기사를 보고 한통의 제보가 들어왔다. 광주지역 한 버스 대표가 준공영제로 지급되는 보조금으로 개인직원을 허위로 채용해 임금을 지급했다, 또 친인척 직원에게는 특별상여금 등을 과다하게 지급하고 있다는 제보였다. 여기다 이 같은 불법을 확인할 수 있는 회계장부도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기사가 출고되기까지는 적지 않은 어려움을 겪어야 했다. 관련 업체와 퇴직금 등과 관련해 소송 중이던 제보자가 회계장부를 언론에 보도하는 것에 부담을 느끼면서 접촉을 피했기 때문이다.
수차례 전화 설득과 만남을 통해 제보자에게 신뢰를 줬고, 제보 받은 지 2주일 만에야 실체적 접근에 필요한 회계장부를 입수할 수 있었다.
결국 2월9일 ‘광주 시내버스 ‘준공영제 이유있는 수백억 적자’’란 제목으로 1면 톱 보도에 이어 다음날 친인척들의 임금 과다인상, 상여금 과다 지급 등을 사회면 톱으로 이어 3차례에 걸쳐 준공영제의 문제점과 대안 등의 시리즈를 보도했다.
보도 이후 강운태 광주시장은 감사팀 및 담당부서에 준공영제에 대한 전면 감사를 지시했고, 시민단체와 진보정당에서도 성실 감사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했다.
매년 3백억원이 넘는 시민혈세를 투입하고 있는 시내버스가 투명하고 더 나은 준공영제로 거듭나 서민들에게 안전한 교통수단이 되길 바랄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