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지사 독선·가짜학위 임명' 개선시킨 동구권 음악학위

제244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취재보도부문 / 충청타임즈 한인섭기자


   
 
  ▲ 충청타임즈 한인섭 기자  
 
민선 단체장의 독선과 오만은 상식 이상이었다. 이번 보도는 기자가 “교육적 학위(석사·학사)가 아니다”라는 답변을 받았던 시점에서 결판났어야 할 사안이었다. 단체장 독선과 아집은 결국 1년여 만에 허상이 벗겨지고 말았다. 국내 불법교습과 현지 3주 교육으로 발급됐다는 ‘가짜학위’ 역시 실체가 드러났다.

 2009년 2월 충북도립오케스트라 창단과 지휘자 선정은 초미의 관심사였다. ‘문화예술특별도’를 자처했던 민선4기 충북도가 추진한 첫 사업이었기 때문이다. 두 차례에 걸쳐 전국 공모를 했으나 도지사 색소폰 개인레슨으로 인연이 된 음악인이 선정됐다. 개방형 국장 인선 실패 후 불거진 탓에 충북도는 억지논리로 임명을 강행했다. 도지사 독선·전횡을 입증하려는 가짜학위 추적보도는 이렇게 시작돼 1년10개월이 걸렸다.

이수증 해석, 대학 교과과정, 학위과정 설치 실태를 취재했다. 불가리아 정부(교육부)와 주한 불가리아 대사관, 외교부, 소피아국립음악원에 공문을 보내 진위와 등급, 국내 교육과정 설치 적법성을 따졌다. 소피아국립음악원 국제협력부서는 “교육적 학위가 아니다”라는 이메일 답변을 보냈다. 큰 성과였다.

임명을 철회할 것이라는 상식과 달리 충북도는 ‘공식 문서가 아니다’라며  오기를 부렸다. 충북 문화계는 ‘문화예술특별도’추진과 맞물린 ‘이권’탓에 오히려 충북도 입장을 감쌌다. 충북예총이 그랬고, 민예총마저 장단을 맞췄다. 국정감사에서도 거론됐으나 충북도는 마냥 버텼다. 물러설 수 없었다.

다음, 구글, 네이버 검색을 통해 소피아국립음악원 이수 음악인을 파악해 일일이 취재했다. 국내 극소수인 정규 학·석·박사 과정 이수 음악인을 찾아냈다. 이들은 “절대 인정해선 안된다. 끝까지 추적해 달라”고 주문했다.

음악카페 가입을 통한 취재도 시도했다. 국내 최초로 동구권 가짜학위 장사에 관여했던 오스트리아 거주 음악인을 취재할 수 있었다. ‘가짜’라는 확신을 더욱 굳힐 수 있었다.

가짜학위 논란 초기 무죄 판결을 받았던 러시아 학위에 대한 대법원 유죄판결은 결정적 단서로 작용했다. 대법원은 소피아음악원 학위와 ‘판박이’인 러시아 극동예술아카데미 석·박사학위 알선자와 취득자를 모두 유죄 판결했다. 시리즈 ‘설땅 잃은 동구권 유사학위’ 보도 후 충북도는 지휘자 재공모와 해촉 방침을 발표했다.

‘가짜’를 입증해 달라는 음악인들의 격려는 가장 큰 힘이었다. 고비고비 마다 도움을 준 불가리아 유학생 L씨와 L교수, 취재에 응해준 전국 음악인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전한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