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시고속도로 교통지옥 문제
제243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취재보도부문 / 매일신문 임상준 기자
매일신문 임상준 기자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1.01.26 14:21:46
| |
 |
|
| |
| |
▲ 매일신문 임상준 기자 |
|
| |
뚜껑을 열어 보니 사기였다. 8년간의 공사, 3천6백50억원이란 천문학적 예산을 들여 교통지옥을 불렀다. 대구시와 한국도로공사는 중부내륙고속도로(옛 구마고속도로) 지선 서대구IC-옥포 구간을 확장하고 남대구IC 입체화 공사가 마무리되면 이 일대 만성 교통정체가 해소되는 등 대구 교통환경이 크게 개선된다고 홍보해왔다.
그러나 결과는 정반대였다. “오늘도 도시고속도로 교통상황은 어렵습니다.” 단 하루도 빠지지 않고 지역 출근길 교통방송에는 도시고속도로 교통지옥을 알리는 코멘트가 등장할 정도였다. 고속도로가 확장개통되면서 그간 함께 이용했던 고속도로와 도시고속도로가 분리됐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천억원을 투입한 공사인데… 이미 엎질러진 물 앞에서 무슨 소용이 있겠느냐’는 회의가 취재진의 발목을 잡았다.
그러나 지난해 7월 초 ‘도시고속도로 교통지옥’이란 첫 보도 이후 시민들의 반향이 줄을 이었다. 인터넷 게시판에 격려의 글 등 댓글이 주렁주렁 달렸다. 더욱 악착같이 매달릴 수 있는 동력이었다.
단순한 불만 기사에 그치지 않고 2000년대 초 고속도로 확장공사 계획단계부터 검토해 나갔다. 대구시와 한국도로공사 정보공개를 통해 시시비비를 따져나갔다. 대구시와 도로공사의 잘못이 하나 둘 드러나기 시작했다. 정확한 교통예측 없이 공사를 강행한 것이다.
특종은 아니었다. 하지만 속보를 써가는 도중 특종이 돼버렸다. 연이어 대구시와 한국도로공사의 안일한 행정이 지면에 오르자 서로 떠넘기기에 급급했던 두 기관은 그제야 해결책을 찾기 위해 동분서주 움직였다. 급기야 재선 시장인 대구시장이 시민들 앞에 머리를 숙였다. 국토부 장관도 대구를 찾아 사태의 심각성을 파악했다.
취재진은 더욱 바빠졌다. 횟감처럼 펄떡거리는 현장과 기사를 발굴해야 한다는 의무감이 생겼다. 6개월여의 사투 끝에 드디어 문이 열렸다. 긴급예산 2백억원을 투입, 단군 이래 전례가 없다던 고속도로를 뒤로 물리고 그만큼 도시고속도로를 확장한다는 안이 발표됐다.
하지만 무엇보다 가장 큰 수확은 중앙정부를 상대로 협상능력을 키운 지방정부(대구시)의 소중한 경험이었다. 교통국장을 비롯해 과장, 계장 등 대구시 공무원은 하루가 멀다 하고 서울 출장길에 올랐다. 그러나 아직 끝난 싸움은 아니다. 도시고속도로 확장과 요금소 설치, 고속도로 차로가 축소되고 도시고속도로 공사가 마무리될 때까지 펜을 거두지 않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