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상선 1.2조 예금? 출처 관심
제243회 이달의 기자상 경제보도부문 / 이데일리 오상용 기자
이데일리 오상용 기자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1.01.26 14:18:26
| |
 |
|
| |
| |
▲ 이데일리 오상용 기자 |
|
| |
현대건설 매각은 해를 넘겨서도 미궁 속을 헤매고 있다. 현대건설 매각을 진행한 주주협의회(현대건설 채권단)와 인수후보군인 현대그룹, 현대차그룹 모두 평행선만 달리다 자율적 해결방안을 찾는 데 실패했다. 결국 현대건설의 운명은 사법부의 판단에 의해 결정이 날 예정이다.
현대건설을 차지하기 위해 경쟁했던 현대그룹과 현대차그룹 간 감정의 골이 깊고 매각을 진행했던 채권단에 대한 불신도 깊어 사법부의 1차 결정이 내려져도 모두가 승복하기는 힘든 구도다.
분명 인수합병(M&A)은 기업의 핵심성장전략이다. 참여 시장 내 점유율을 단숨에 높이는 것은 물론 성장성이 정체된 기업에 숨통을 열어주기도 한다. 그러나 M&A가 무리한 외부차입과 짝을 이뤘을 때 사회적으로 얼마나 불행한 결과를 가져오는지는 이미 금호아시아나그룹의 사례를 통해 확인했다.
현대건설 매각 역시 현대그룹과 현대차그룹 간 치열한 인수경쟁으로 또 다른 ‘승자의 저주’ 사례가 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우려가 컸다. 현대건설 부실의 원인제공자였던 구(舊)사주들에게 회사경영권을 되판다는 비난도 적지 않았다. 그래서 어느 때보다 현대건설 보유지분을 매각하는 채권단의 역할이 중요했다.
그러나 현대건설 매각을 취재하는 과정에서 기자는 채권단의 주먹구구식 일처리와 무원칙, 채권 은행간 내분에 놀라고 좌절하고 실소를 금치 못했다. 인수후보가 제출한 자금조달 방안과 향후 인수기업과 피인수기업의 재무에 미칠 영향을 채권단이 좀더 꼼꼼히 따졌다면 이번 논란은 발생하지도 않았을 것이다. 채권단은 본입찰 마감 하루 만에 서둘러 우선협상자를 선정, 발표하면서 대규모 매각차익을 현실화하는 데만 급급했다.
현대건설 매각을 둘러싼 이번 논란은 우리 금융시장에 많은 과제를 남겼다. M&A시장을 질식시키지 않으면서도 ‘승자의 저주’ 가능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도 낳았다. 일부 국회의원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기업 총수의 독단적인 M&A 판단을 견제할 수 있도록 상법 개정안 작업을 벌이고 있다. 감독당국도 정부가 지분을 보유한 금융기관이 진행하는 출자회사 M&A에 대한 모범규준안 마련을 추진 중이다.
복마전 같은 현대건설 M&A가 그나마 우리 사회에 남긴 위안거리다. 현대건설 매각에 제동을 걸었던 이데일리의 ‘佛은행에 현대상선 1.2조 예금? 출처 관심’ 기사의 의미도 여기서 찾을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