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폐기물 불법 매립 단독 기획보도
제242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취재보도부문 / 창원MBC 정영민 기자
창원MBC 정영민 기자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0.12.15 15:25:04
| |
 |
|
| |
| |
▲ 창원MBC 정영민 기자 |
|
| |
올해 여름, 낙동강에는 유난히 비가 많이 내렸다. 집중 호우로 4대강 16개 보 가운데 유일하게 낙동강 사업 구간인 합천보와 함안보가 잠겼다. 예견된 상황이었다지만 침수 이후 현장은 부실했고 환경영향평가를 위반한 공사는 계속됐다. 급기야 환경단체들이 타워크레인을 점거하는 고공농성에 들어가며 4대강 사업은 지역을 뜨겁게 달구었다.
하지만 이게 끝이 아니었다. 4대강 공사 구간에 대규모 폐기물이 매립된 사실이 밝혀지면서 낙동강은 한 숨에 4대강 사업 구간의 쟁점지역으로 떠올랐다. 전국의 눈과 귀가 폐기물에 집중된 시점에 한 덤프트럭 운전기사의 양심고백으로 본 취재팀은 두 달에 걸쳐 ‘낙동강 폐기물 불법 매립’과 ‘4대강 공사현장의 환경오염 실태’긴급 점검에 착수했다.
5백20km구간에 걸친 낙동강. 곳곳에 매립된 폐기물은 건축폐기물과 뒤섞인 폐콘크리트=폐골재였다. 낙동강에 이런 폐기물이 매립될 경우 수질 오염이 미치는 영향은 어떨까? 분석이 필요했다. 폐콘크리트 용출실험을 통해 먼저 폐콘크리트의 PH농도가 합성세제와 맞먹을 정도여서 물고기가 살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수질 오염을 야기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입증 할 수 있었다.
폐콘크리트의 유통 과정의 문제점을 일주일 동안의 끈질긴 추적 끝에 밝혀낼 수 있었고, 이후 4대강 사업이 시작되면서 국토부와 지자체 공무원의 ‘사실 숨기기’, ‘책임 떠넘기기’에 급급한 안일한 행정과 태도를 꼬집는 후속보도가 뒤따랐다.
이후 낙동강의 4대강 사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각종 문제점에 대한 ‘긴급 점검’에 착수해 대규모 폐기물을 낙동강 생태공원에 불법 매립하는 현장 고발과 무리한 준설로 준설토 적치장에서 썩은 침출수가 그대로 영남지역 식수원인 낙동강에 흘러들어가는 현장을 탁도 측정과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담아냈다. 또 ‘야생동물보호구역에 준설토 투기장’, ‘폐공 방치…지하수 오염 우려’ 등의 연이은 보도는 생명존엄의 가치와 생태사회를 전망하는 연속 보도였다.
때마침 열린 국토해양부와 환경부 국정감사에서 연일 ‘4대강 폐기물’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특히, 야당의원들은 부산지방국토관리청과 낙동강유역환경청 국감장에서 창원MBC보도 내용을 근거로 폐기물 불법 매립이 환경영향평가 당시 발견되지 못한 점에 대한 문제점이 지적했고, 이는 환경영향평가의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4대강 공사 잠정 중단과 환경영향 평가를 재실시 해야 한다는 필요성 강조와 정부의 개선책을 이끌어냈다.
그러나 앞으로가 문제였다. 경남도는 실태파악에 나서며 결국 4대강 사업 반대 입장을 세웠고, 정부의 낙동강 사업권 회수를 놓고 경남도와 유례없는 법정공방이 불가피한 상황에 봉착하게 됐다. 기자가 오로지 현장을 통해 악착같이 보도한 기사가 정치적 발목 잡기를 위한 명분이나 이념적으로 비춰지길 바라지 않는다. 그 건 수백만 명이 매일 먹는 물을 생각하고 숨 쉬는 환경을 보존하고 지키기 위해 현장을 똑바로 보고 알리는 신념에서 비롯된 것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