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영 국방장관에게 전달된 VIP 메모
제236회 이달의 기자상 전문보도부문/노컷뉴스 윤창원 기자
노컷뉴스 윤창원 기자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10.06.16 14:41:22
| |
 |
|
| |
| |
▲ 노컷뉴스 윤창원 기자 |
|
| |
천안함 침몰사고와 함께 비상이 걸렸다. 원인을 알 수 없는 이유로 46명의 희생자를 낸 가슴 아픈 사고였다.
나는 사건사고의 현장을 지키는 사진기자이지만 팀 특성상 명확한 출입처가 없이 드물게 국회를 찾다가, 얼마 전 4월부터 첫 국회 출입을 하기로 내부 방침이 정해진 관계로 백령도 사고 현장에는 투입되지 못한 상태였다.
국회 현장 적응과 업무 인수인계 등으로 출입 첫날을 어떻게 보냈는지 모르게 둘째 날이 밝았다. 군 초유의 사건인 천안함 침몰사고와 관련 국회 본회의 긴급 현안질의가 예정되어 있었다.
사고 며칠째 함수와 함미로 분리된 함정의 정확한 위치조차 파악하지 못하고 수색구조작업을 벌이던 UDT대원이 사망하는 사고까지 발생하는 등 아무런 객관적 자료나 구체적 증거를 제시하지 못한 정부의 국회 현안보고는 곧 의원들과의 사고원인에 대한 날 선 공방으로 이어졌고 군의 책임론으로까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었다.
의원들과 국무총리의 질의와 답변 중간 중간 본회의장에 앉아 있던 김태영 국방부 장관에게 몇몇 관계자들이 접근하여 이야기를 나누는 모습과 함께 한 장의 문서를 유심히 바라보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국방부 장관에게 집중되는 국민적 시선이나 행동을 이해하며 몇 장의 사진을 촬영하였다. A4용지 크기의 문서에 희미하게 보이는 장관님과 두어 번 고쳐 적은 듯한 VIP라는 글이었다. 현장에서 카메라로 그 이상의 해석은 어려웠다. 송고를 위해 노트북을 켜고 최대한 확대한 결과 장관의 답변에 관한 내용이었다.
구체적 내용 확인이 어려운 상태에서 정치부, 사회부와의 긴급한 논의가 이어졌다.
침몰원인으로 ‘어뢰 공격설’, ‘좌초설’, ‘피로 파괴설’, ‘내부 폭발설’ 등 갖가지 설들과 음모론이 난무하는 가운데 곧 사회부 구용회 선배의 추가적인 확인취재가 이루어졌다. 사고 이후 날짜별, 시간대별 군과 청와대의 발언을 비교로 입장 변화와 시각 차를 생각해 볼 수 있게 하는 내용의 문서였다.
사건사고 기사에서 속보만이 뉴스의 큰 가치는 아닐 것이다.
46명 희생자 유가족의 아픔과 대북관계의 거대한 후폭풍이 예상되는 천안함 사태에서 예단에 앞서 정확한 상황 파악과 사실 전달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