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캠퍼스 경기도 러시, 약인가 독인가?

제236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기획보도 신문부문/경인일보 최해민 기자


   
 
  ▲ 경인일보 최해민 기자  
 
‘가장 좋은 보도자료는 현장이다.’

처음 수습생활을 시작할 때 선배들이 입버릇처럼 하던 말이다. 아무런 자료도 만들어지지 않은 ‘불모지’ 아이템이라도 현장에서 사람들의 얘기를 듣다 보면 방금까지 막막하기만 하던 기사방향이 서서히 뚜렷해질 것이라던 가르침이다.

이번 기획보도는 개인적으로 굉장히 의미가 컸다. 기자생활에서 ‘현장의 의미’를 다시 한번 되새길 수 있는 취재였기 때문이다.

최근 수년간 서울 주요 대학들이 경기도로 이전해 오겠다는 발표가 잇따랐다. 언론에서도 경기도와 해당 지자체 및 대학의 자료를 받아 발표 내용 그대로 홍보기사를 출고했다.

기사를 접하면서 ‘수십 년간 없었던 대학이전 계획이 왜 하필 최근 집중돼 발표될까. 유명 대학들은 왜 유독 경기도로의 이전을 고집하는 걸까. 왜 대학들은 캠퍼스 일부만 이전하려는 걸까’라는 조금은 다른 시각에서 문제제기를 했던 것이 바로 기획보도의 시작이 됐다.

대학 캠퍼스 이전사업은 대학이 이전해 ‘주는 것’이고, 지자체에서는 유치를 성공시킨 게 됐다. 이 입장 차이 탓에 지자체에서는 불평등한 조건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한 채 사업을 벌이기 일쑤였고, 이로 인해 제대로 진행된 사업은 거의 없다시피 한 상황이었다.

특히 대학을 유치하겠다던 지자체에선 지방선거를 앞두고 서둘러 사업을 발표, 치적을 홍보했고 해당 지역의 땅값은 술렁이기 시작했다.

주민들이 평생을 살아온 터전을 대학 유치에 혈안이 된 지자체에 빼앗기고 떠나갈 때, 대학 측은 연구투자보단 시설 불리기를 통한 자산 확대에 주력, 캠퍼스 일부를 떼어내 경기도의 개발 유력지역 땅을 사들이고 있었다. 수년 전 이미 캠퍼스 일부를 이전해 온 대학의 경우 땅값이 최대 10배 가까이 뛴 경우도 밝혀졌다.

이번 기획보도를 통해 경기도와 각 지자체에서는 대학 캠퍼스 이전사업에 대한 기준을 재정립하고, 신중한 발표와 추진을 다짐했다. 정책의 변화도 그렇지만 무엇보다 다른 언론에서도 대학 이전사업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갖게 됐다는 점에서 경인일보가 여론을 주도한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고 자부한다.

아울러 하루 3백㎞가량 되는 취재현장을 매일같이 누비며 함께 취재에 응해준 취재팀과 의정부 주재 최재훈 선배에게 고맙다는 말을 전하고 싶고, 데스크로 승진하신 뒤 석 달 만에 두 번의 이달의 기자상을 일궈낸 사회부장께도 축하의 말씀을 전한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