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배추 상여금 '돈잔치'

제228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 취재보도부문 / KCTV제주방송 오유진 기자


   
 
  ▲ KCTV제주방송 오유진 기자  
 
취재기자에게 걸려온 한 통의 제보전화.
제주시 한림농협이 ‘양배추 사주기 운동’으로 거둬들인 수익금 8억원 등 10억여 원을 임직원들의 성과상여금과 조합원 3천여 명의 선물구입비로 사용했다는 내용이었다.

이 사업은 과잉 생산으로 폐작 위기에 몰린 농민을 돕기 위해 온 국민의 지원이 있었고 제주도가 22억원의 적잖은 보조금을 지원한 터라 문제가 컸다.

취재 결과 직원들에게만 지급하도록 한 성과상여금을 조합 내부 규정을 바꿔가며 조합장과 비상임이사들까지 지급받은 사실이 확인됐다.

조합장 선거를 앞두고 기부행위 금지기간을 피해 상여금 지급을 서둘렀다는 의혹도 제기됐다. 보조금을 지원한 제주도는 수익금 사용에 대해 전혀 관심을 기울이지 않은 사실도 밝혀졌다.

수익금 배분의 절차적 정당성도 문제지만 더 큰 문제는 ‘양배추 사주기 운동’에 모아진 국민적 성원을 무시한 처사였다.
수익금은 당연히 농민을 위한 기금 등으로 사용해야 한다는 게 지역사회의 정서였다.

과잉 생산으로 양배추 가격이 폭락한 지난 1월과 2월 국회 등 전국에서 2천여 개의 기관·단체와 해외동포들까지 구매운동에 동참했다. 제주도는 ‘선심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22억원의 보조금을 이 사업에 투입했다. 

KCTV뉴스 보도 후 해당 농협은 공식 사과와 함께 보조금 모두를 제주도로 반납하기로 결정했다. 또 임직원 94명에게 지급된 상여금 3억여 원도 반납받아 ‘농산물 유통손실 보전금’으로 농민을 위해 쓰기로 했다.

진작 양배추 구매 운동의 결말이 이랬더라면 지난봄 밤낮없이 양배추를 수확하고 판매했던 농협 직원들의 노고는 빛을 발했을 것이라 생각한다.
검찰은 현재 이 사업에 투입된 제주도 보조금 집행의 적법성을 수사 중이다.

이번 일로 인해 제2, 제3의 양배추 파동이 일어날 때 소비자들이 농촌의 현실에 대해 냉담해지지 않을까 걱정이 앞선다. 

KCTV 취재보도 내용이 농촌 돕기 사업의 투명성을 높이고 사후관리가 허술한 지방 정부의 보조금 집행관행을 바로잡는 선례로 남기를 바랄 뿐이다. 
그렇게만 된다면 오늘 받는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의 기쁨이 두 배가 될 것이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