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차 시장 대해부
제227회 이달의 기자상 기획보도신문부문 / 서울신문 김승훈 기자
서울신문 김승훈 기자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09.09.23 14:22:32
| |
 |
|
| |
| |
▲ 김승훈 기자 |
|
| |
“중고차 속지 않고 팔고, 속지 않고 살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자가용 소유자들의 호소다. 차를 딜러에게 파는 사람들은 제값보다 훨씬 적게 받고 파는 것을 우려했고, 중고차를 구매하는 이들은 딜러에게 속아 비싼 가격에 사는 것은 아닌지를 걱정했다. ‘중고차 시장 대해부’는 ‘속지 않고 팔고 속지 않고 사는 방법’을 모색하는 데서 비롯됐다. 단순한 호기심이 중고차 시장에서 횡행하는 불법 영업 실태 전반을 파헤치는 계기가 됐다.
한 달이 넘게 ‘발냄새·땀냄새’를 풍겼다. 강남·강서·성동구 등 서울의 중고차 매매 특구와 부천·광명 등 경기지역 중고차매매단지 등 7곳의 중고차매매단지와 인근 정비업체를 집중 취재했다. 이들 지역 관계자들을 통해 중고차성능상태점검기록부와 주행거리가 조작되는 등 여러 형태의 불법에 대한 증언도 듣고 자료도 입수했다. 특히 매매상과 딜러들은 ‘탈세’를 위해 갖가지 방법을 동원하고 있었다.
구매자와 체결한 매매계약서와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는 매매계약서 상의 판매금액이 달랐다. 실제 1천만원에 팔았으면서도 지자체에는 판매가를 3백만원으로 신고하는 식이다. 카드 거래 때에도 노숙자 등을 바지사장으로 내세운 유령업체를 통해 속칭 ‘카드깡’을 일삼고 있었다.
취재 과정에서 법으로 판매금지된 폐차 부품이 시중에 불법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도 포착했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포천, 동두천, 양주, 파주 등 경기 지역 폐차업체를 두루 돌아다녔고, 이들 지역 폐차업체에서 중고차부품매매상이나 매매전문브로커를 통해 판매금지 부품이 불법 유통되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보도 이후 정부 당국은 중고차 시장의 전반적인 실태 조사에 들어갔고 카드깡 등 탈세에 대한 대책 마련에도 착수했다. 중고차·폐차업체도 중고차 거래의 투명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모쪼록 이번 취재가 중고차 시장의 선진화에 조금이라도 기여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끝으로 부족한 기획을 ‘이달의 기자상’ 후보로 추천해준 편집국 선배들과 더운 날씨에도 불구하고 서울과 경기 지역 일대 중고차매매단지와 폐차업체를 부지런히 돌아다녔던 박성국 기자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특히 기사가 나가기 전까지 매일 수차례의 전화에도 불평 한마디 없이 자문해줬던 딜러 A씨, 대림대 자동차공학과 김필수 교수, 카드업계의 C씨 등에게 이 상을 바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