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일보 사주 주식 불공정거래 수사

제227회 이달의 기자상 취재보도부문 / 한겨레 김경락 기자


   
 
  ▲ 김경락 기자  
 
부족한 기사에 ‘이달의 기자상’이라는 영예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언론의 역할에 걸맞은 좋은 기사를 쓰라는 채찍으로 받아들이겠습니다.

기사를 쓰고 난 뒤 ‘취재 과정이 순탄치 않았던 이유가 뭘까’란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처음에는 사안 자체가 외부에 잘 공개되지 않는, 좀 더 정확히는 외부에 공개하지 않도록 정하고 있는 금융당국의 원칙 때문인 줄로만 알았습니다. 이런 생각 때문에 이런 원칙에서 다소 벗어나 취재 과정에서 도움을 준 금융위와 금감원 내부 인사에게 감사함을 느끼면서도 미안한 마음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하나 더 짚고 싶은 지점이 있습니다. 정보를 쥐고 있는 자의 권력이 가지는 재량이란 이름의 전횡에 대해서입니다.

민주주의 사회지만 모든 정보를 모두가 공유할 수는 없을 겁니다. 그게 전체 공익에 더 바람직한 일일 수도 있습니다. 문제는 이런 판단을 누가 하는가, 또 정보 공개 재량권을 어떻게 통제할 건가라는 대목입니다.

금융당국은 고발 사건의 경우 일부는 공개하지만 통보 이하 사건은 전혀 공개하지 않습니다. 내부 규정일 뿐 명확한 근거가 전혀 없습니다. 당국 내부에서도 언제, 어떻게, 왜 그런 기준이 만들어졌는지 명확히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드뭅니다. 비약하면 주요 정보가 별다른 기준 없이 유통되기도, 아니면 묻히기도 한다는 겁니다.

사실 본인에게 이번 사건이 동아일보 쪽이 연루된 것은 별로 중요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취재 의욕을 북돋운 것은 사건 처리 과정에서 정보를 쥔 금융당국의 석연치 않은 태도였습니다.

사건 내용을 공개할 수 없다는 명분으로 왜 고발 사건이 통보 사건으로 한 단계 낮춰졌는지에 대해서도 일절 말하지 않았습니다. 그냥 최종 결과만 중요할 뿐이지, 세세하게 알려들지 말라는 태도였습니다.

기자의 사명 중 하나는 이런 게 아닐까 싶습니다. 정보를 쥔 자의 독단적 판단으로 대중이 알아야 할 정보가 은폐된 것을 찾아내는 일이 첫 번째이고, 정보를 쥔 자의 재량 이름으로 이뤄지는 전횡을 감시하는 게 두 번째가 아닐까 싶습니다.

끝으로 기자가 보도한 ‘동아일보 사주, 주식 불공정거래 조사’ 사건은 향후 국회 국정감사 과정에서 여러 차례 불거질 것 같습니다. 정치권의 헛된 공방이 아닌, 실체 있는 접근과 조사를 통해 기자가 다 찾지 못한 진실의 마지막 퍼즐이 맞춰지길 바랍니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