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직원 성매매 혐의 입건

제223회 이달의 기자상 취재보도부문 / 한겨레 송경화 기자


   
 
  ▲ 한겨레 송경화 기자  
 
지난 3월27일 오후9시께 한겨레는 검찰 관계자로부터 ‘얼마 전 청와대 행정관이 성매매 혐의로 신촌에서 붙잡혔다더라’는 얘기를 들었다. 정신이 번쩍 들었다. 사건이 발생한 지 수일이 지났는데도 알려지지 않은 이유는 뭘까. 즉시 확인에 들어갔다.

확인은 쉽지 않았다. 서울 마포경찰서 생활안전과장에게 물었으나 과장은 “그런 일 없다”고 말했다. 서장에게 전화를 했다. 서장은 “잘 모르겠다. 확인한 뒤 전화하겠다”며 끊었다. 하지만 이후 서장은 전화를 하지도, 받지도 않았다. 일선의 아는 형사에게 물어봤다. ‘입건은 맞으나 구체적 시간과 장소는 모른다’고 답했다. 청와대 쪽에 확인을 요청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그런 불미스러운 일이 있어 오늘(27일) 행정관 2명이 사표를 냈다”고 말했다.

얘기를 들은 지 1시간30분 만인 오후 10시30분께 서울판 신문에 ‘청와대 직원 성매매 혐의 입건’ 기사를 넣을 수 있었다. 추가 취재를 통해 입건된 행정관이 이른바 ‘2차’에 가기 전에 방송통신위원회 간부와 함께 케이블 업체 사람으로부터 술 접대를 받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또 주말 내내 신촌 숙박업소를 뒤진 끝에 ‘접대 받은 3명 모두 2차에 갔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를 통해 3월30일 남들보다 한발 빠른 후속보도를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실수도 있었다. 첫 보도에서 한겨레는 입건 장소를 ‘안마시술소’로 잘못 보도했다. 정확한 시간과 장소를 확인하지 못 하던 차에, 마포서 한 간부가 “이번 주 성매매 입건은 1건이며, 직장인 남성 2명이 안마시술소에서 잡혔다”며 시간과 장소, 단속 경위 등을 설명해줬다. 이 확인으로 첫 보도가 ‘안마시술소’로 잘못 나간 것이다. 하지만 보도 후에도 마포서는 이를 다른 사건이라고 밝히지 않았다. 후속 기사를 통해 한겨레가 “2차로 간 숙박업소에서 입건됐다”고 밝힌 뒤에야 경찰은 브리핑을 열어 “‘룸살롱 뒤 숙박업소’가 맞다”고 밝혔다.

이 같은 경찰의 태도는 “사건을 은폐·축소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혹을 사기에 충분했다. 경찰은 이후에도 청와대 행정관의 조사 사실과 장소는 숨기되, 케이블 업체 관계자에 대한 조사 사실과 시간, 장소는 언론에 흘리는 등 이중적인 모습을 보였다.

보도 뒤 청와대는 비서진에 대해 1백일간 특별 직무감찰에 돌입했다고 발표했다. 또 행정안전부는 공무원에게 유흥업소 출입 자제령을 내리는 등 후속 조치를 내놨다. 이런 일시적인 조치들로 공직자들의 기강 해이와 부적절한 로비 관행이 사라질 것이라고 보는 이는 없다. 한겨레도 마찬가지다. 앞으로도 감시의 눈을 치켜떠야 할 이유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