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택 교육감, 학원쪽에서 선거자금 빌려

218회 이달의 기자상 취재보도부문/뉴시스 이현주 기자

교육감 선거 비용 관련 의혹은 주경복 후보를 대상으로 먼저 불거졌다.

한나라당 조전혁 의원이 주 후보의 자금을 전교조가 대부분 지원했다는 의혹을 제기하면서 검찰 수사까지 착수되는 등 교육감 선거비용 비리의 초점은 주 후보에게 맞춰져 있었다.

취재의 시작은 시시비비를 가리자는 생각에서 시작됐다. 일부 언론들은 낙선 후보인 주경복 후보‘만’ 때리고 있었다.

이미 밝혀진 주경복 후보의 의혹거리보다 훨씬 농도 짙은 ‘학원유착설’이 도는 공정택 교육감에 대한 기사는 거의 보이지 않았다. 선거비용 문제가 정파적으로 다뤄져서는 안 된다는 것이 우리의 원칙이었다.

우리는 공정택 교육감과 주경복 후보의 선거비용 사용 명세를 모두 입수해 분석에 나섰다.

분석 결과 공 교육감의 선거비용은 수입 내용은 충격적이었다.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온 건 학원업자들에게 빌린 7억여원. 한번이 아닌 여러 번에 걸쳐 비용을 차입했기에 금액을 계산기로 두드려가며 확인에 확인을 거듭했다.

일주일에 걸쳐 공 교육감과 주 후보의 선거비용 분석 결과를 정리했다.

두 후보에게 돈을 준 수십 명의 사람 중 신분이 확인된 사람을 추리고, 동명이인일 가능성을 고려해 본인에게 확인을 하나하나 해나가는 작업이었다.

이렇게 첫 번째 기사인 ‘공정택 교육감, 학원 쪽에서 7억원 이상의 선거자금 빌려’가 출고됐다.

그날 이후에도 분석작업은 이어졌다. 이후 적게는 몇 십만원, 많게는 몇 백만원의 격려금을 제공한 사람들 중 현직 교장들이 수십 명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고 또 학원 관계자에게 지원받은 돈이 대출을 포함해 7억여원이 아닌 18억여원에 이른다는 사실을 2번에 걸쳐 보도할 수 있었다.

기자는 남들보다 권력에 쉽게 접근하고, 맞서 싸울 수 있는 몇 안 되는 직업이라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기자가 그럴 수 있는 ‘권한’을 가진 것은 사회현상에 대한 시시비비를 가려주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 보도는 누구나 가질 수 있는 의문에서 시작했다. 다만 가장 먼저, 가장 거리낄 것 없이 접근한 것이 ‘특종’을 낳았다.

기자는 사회현장에 대해 ‘외눈’을 떠서는 안 된다는 간단한 취재 공식이 빛을 본 기사였다.
맨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