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여름철 뙤약볕을 마다하지 않고 논과 밭은 물론 일면식도 없는 강원도 옥수수시험장, 경기도 참깨공장 등을 찾아다니며 대안 찾기에 발품을 판 그들이다.
기자상은 차지하고라도 ‘막오른 식량전쟁, 위기의 농업 대안을 찾자’는 농도(農道) 전남을 독자로 한 언론으로서 당연히 해야 했을 일이었다.
FTA와 무한 자유시장경제 체제 아래 농업은 설 땅을 잃고 있다. 농사를 포기하는 사례들이 속출하면서 우리의 곡물자급률도 해마다 떨어지고 있다. 그런데도 우리 사회는 뚜렷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아니 농업 자체를 백안시하고 있다.
그러다 연초 고유가와 국제 메이저 곡물들의 농간 등으로 곡물가 급등하면서 농업을 되돌아 보게 했다. 식량 자국 보호주의는 언제든지 '곡물이 무기'로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일깨워 준 것이다.
이번 기획은 수입개방 여파 등으로 농업여건이 악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식량자급의 중요성과 함께 우리 농산물을 지켜야 한다는 대명제 아래 시작됐다.
쌀을 제외한 식량자급률이 고작 27%에 머무는 한국의 실정에서 전 세계 식량대국들이 수출국에서 수입국으로 전환되고 수출을 규제하는 등 식량 무기화로 위기가 올 경우 그 타격은 '무한대'일 수 있기 때문이다.
지난 3월부터 9월까지 6개월여 동안 3부로 나눠 서민경제는 물론 설 땅 잃은 신토불이, 현주소와 대안 등을 3부로 눠 식량생산의 주체인 전남과 강원 등을 돌며 주식인 쌀과 옥수수, 콩, 보리, 깨 등 주요작물들에 대한 정책 현주소를 진단했다.
취재 중 놀란 사실은 당국자들이 곡물자급에 대한 어떠한 기준도 가지고 있지 않다는 사실이다. 주무부처인 농림수산식품부는 작목을 주먹구구식으로 관리하고 있었다. 특히 쌀 이외에는 품목은 수입하면 그만이라는 인식이 팽배해 있었다. 국회 또한 농업을 외면하고 있다. 각종 식량관련 법률들이 관심을 끌지 못한 채 사장되고 있었다.
취재를 마치면서 해외사례분석 등 미진한 부분에 대한 아쉬움이 많았다. 앞으로 기회가 되면 보완취재를 통해 식량자급률 법제화 등에 노력할 것이다. 그것이 일면식도 없는 취재진에게 도움을 준 분들에게 보답하는 길이라 생각한다. 농업·농촌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해 부단히 노력할 것을 다짐해 본다.
제217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기획보도 신문·통신 부문 수상
무등일보 김종석 기자(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