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대 총장 비리 보도
212회 이달의 기자상 지역취재보도부문
부산일보 김백상 기자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08.06.18 16:20:50
| |
 |
|
| |
| |
▲ 부산일보 김백상 기자 |
|
| |
동아대 총장 관련 첫 보도는 1월이었고, 지금도 검찰수사와 관련해 후속보도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말 대학 주변으로 퍼진 소문이 몇 달간 보도가 쏟아지면서 유력대학 총장의 낙마는 물론 사법기간의 심판까지 받는 상황으로 발전됐다.
동아대 총장이 박물관장 시절 발굴용역과 관련 거액의 과다계상이 문제가 되고 있다는 소문을 기사로 요리하기 위해서는 ‘팩트’라는 재료가 필요했다. 팩트를 얻기 위해선 발품을 팔아야 했고, 이런 노력을 위해서는 ‘확신’이 있어야 했다. 확신을 얻기 위해 문화재발굴사업에 대해 공부했고, 대학 주변으로 취재 아닌 취재를 해야 했다.
소문을 사실로 확인한 뒤 이뤄진 첫 보도로 개인적 비리가 드러났다. 하지만 당시 총장은 자신의 자리를 고수했다. 이 때문에 전선은 지루하게 길어졌다. 몇 달 뒤 모든 것이 드러나면서 교육부는 파면이라는 중징계를 내렸고, 검찰은 압수수색에 계좌추적까지 하며 수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유력 사립대학의 총장이 자신의 비리가 사실로 확인됐지만 그는 한동안 억울함을 호소하며 언론을 원망했다. 과다계상 금액이 수억 원에 달하지만 남들 다하는 것이고, 나아가 이를 유용한 것까지 제자들을 위한 행동이었다는 게 변명의 요지였다.
하지만 사회지도층이 자신의 비리에 부끄러움을 느끼지 못하는 것, 도덕성에 치명타를 입고도 책임을 회피하려는 것은 시대착오적인 발상이다. 우리 사회는 높은 수준의 도덕성을 갖춘 지도층을 원하고 있다. 이유야 어찌됐든 당시 총장은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했다. 타인의 도덕불감증은 비난하면서 정작 자신의 불감증은 깨달지 못하고 있는 덜 성숙된 지도층의 도덕성. 이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는 데 이번 기사가 보탬이 됐기를 기대한다.
몇 달간 한 가지 사안을 발전시키면서 기사화하는 것은 편집국의 전폭적인 지원이 없으면 불가능하다. 다시 한번 사회부 동료를 비롯한 부산일보 모든 식구들에게 고마움을 전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