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급진단, 세금먹는 교통시설물
[지역기획보도 방송부문] KNN 차주혁 기자
한국기자협회 webmaster@journalist.or.kr | 입력
2008.04.25 09:49:54
| |
 |
|
| |
| |
▲ KNN 차주혁 기자 |
|
| |
차선규제봉 한개 설치비용이 10만5천원? 도로소모품에 불과한 차선규제봉이 이렇게 비싸다는 사실은 취재기자로서 매우 충격적이었다. 하지만 담당공무원들의 반응은 너무나 당연하다는 반응. 취재는 이렇게 시작됐다.
본격적인 취재에 착수하자 각종 의혹이 이어졌다. 차선규제봉의 납품가격은 8천원부터 8만원까지 지자체별로 무려 10배 이상 차이가 나고 있었다. 인터넷 등에서 거래되는 시중거래가격과 관공서 납품가격 간의 차이도 4~5배나 됐다. 또 도로미관을 저해하고 운전을 방해한다는 이유로 지난 2005년 건설교통부는 일선 지자체에 차선규제봉의 설치를 자제하라는 공문을 발송한 사실도 취재결과 확인됐다.
하지만 실제 차선규제봉은 교통안전상 불필요한 위치에, 설치규정 보다 훨씬 좁은 간격으로 무작정 설치되고 있었다.
건교부의 설치규정과 부산시 관련조례, 자체별 공사비 지출내역과 현장취재 결과 등을 대조하자, 납품업체와 담당 공무원간의 유착의혹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가격과 수량을 뻥튀기한 뒤 업자와 공무원이 뒷돈으로 나눠먹는 전형적인 세금 도둑질 수법. 도로표지병과 반사경, 충격흡수대 등의 다른 교통시설물 역시 똑같은 방식으로 국민 혈세가 낭비되고 있었다. 기자협회에 소속된 기자 동료들이 꼭 한번 관심을 가지고 지켜봤으면 하는 부분이다.
부산시의회에서 발표된 한 장의 보도자료에서 출발한 이번 기획취재에는 거의 2달의 시간이 들었다. 지나지 않은 곳이 없을 만큼 부산 전역 도로를 누비고 다녔다.
밤낮없이 도로중앙선을 따라 누비며 위험한 취재에 동참한 전재현 촬영기자가 없었다면 불가능했을 일이다. 무엇보다 논리적인 틀과 방향성을 제시해 준 사회부 데스크와 2달이라는 긴 시간동안 믿어주고, 밀어준 보도정보팀 선배, 동료들에게 모든 공을 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