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3년 NYT '기사 조작' 사과… 국내서도 "정정보도 관행 개선을"

[저널리즘 타임머신] (69) 기자협회보 2003년 5월 28일

  • 페이스북
  • 트위치

“한 뉴욕타임스 기자가 최근 몇 개월 동안 중요한 사건들을 취재하면서 기만적인 취재행위를 해온 사실이 뉴욕타임스 자체 조사팀에 의해 밝혀졌다.” 2003년 5월11일, 뉴욕타임스의 1면 머리기사 첫 문장이다. 뉴욕타임스는 제이슨 블레어 기자의 허위·표절 기사에 대해 사과하며 A4 15페이지에 달하는 장문의 정정기사를 1면을 포함, 7개 지면에 걸쳐 내보냈다. 2002년부터 2003년 4월까지 그의 이름으로 쓴 73개의 기사 중 37건에서 문제가 발견됐다며, 그가 4년간 쓴 600여건의 기사 전체에 대해 정밀 조사에 들어갔다고 밝혔다.

 

2003년 5월28일자 기자협회보는 이 사건을 자세히 담으며 우리 언론이 뉴욕타임스의 철저한 사과를 본받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먼저 이재경 이화여대 커뮤니케이션·미디어학부 교수는 ‘언론 다시보기’를 통해 “5월11일자 뉴욕타임스는 나에게 경탄의 대상이었다”며 “나는 아직 1면 톱기사로 자신의 잘못을 밝히는 스트레이트 기사를 실은 한국 신문을 본 적이 없다. 5·18 광주민주화운동 왜곡보도 같은 철저한 직무유기의 경우에 대해서도 어느 언론사가 철저한 자체 조사를 실시했다는 얘기를 듣지 못 했다”고 밝혔다.


관련한 기사도 정정기사 및 사과에 인색한 우리 언론계가 잘못된 관행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자협회보는 “이 같은 뉴욕타임스의 행보는 비슷한 시기에 발생한 ‘길재경 망명설 오보 소동’과 맞물리면서 국내 언론계 안팎에서 우리 언론도 잘못을 당당하게 시인하고 독자들에게 신뢰를 얻어야 한다는 지적을 낳고 있다”며 “지난 17일 연합뉴스가 첫 보도한 ‘김정일 서기실 부부장 길재경 미 망명’ 기사의 경우 중앙일보가 길 부부장의 묘비사진을 공개하면서 오보로 판명 났지만 연합뉴스, KBS, 경향신문을 제외한 상당수 언론은 이에 대한 사과를 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지금은 어떨까. 여러 언론사의 노력으로 과거보단 정정보도 및 사과문의 횟수와 분량이 늘어났지만 아직도 정정보도 방식이 미흡하다는 인식은 줄어들지 않고 있다. 극히 예외적인 경우가 아니면 아직도 정정보도문은 지면 하단 1단 크기 정도로 배치되는 게 일반적이다. 이런 상황에서 더불어민주당은 정정보도 크기나 시간을 원 보도의 2분의 1 이상으로 의무화하는 내용을 담은 언론 법안을 추진하고 있다. 일률적 규제도 문제지만, 지적에 앞서 언론사의 노력이 더욱 요구되는 시대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