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희 MBC 아나운서들은 사상 초유의 방송거부와 업무거부라는 최후의 수단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정말 안타깝고 죄송합니다. 하지만 부끄럽지 않은 방송, 떳떳한 방송으로 다시 찾아 뵙겠습니다.”
MBC 아나운서 27명이 제작거부를 선언했다. 이들은 22일 오전 서울 상암동 MBC 사옥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그간의 출연 방해, 제지 등 업무 관련 부당 침해 사례를 폭로, 제작거부를 선언했다.
▲22일 오전 서울 상암동 MBC 사옥 앞에서 27명의 아나운서들이 제작거부를 알리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김범도 아나운서는 “지난 2012년 파업 이후 MBC 아나운서들은 대한민국 방송 역사상 유례가 없는 비극과 고통을 겪었다”며 “11명의 아나운서가 부당전보됐고 얼마 전에는 지속적, 상습적 방송출연 금지 조치에 절망한 나머지 김소영 아나운서가 사표를 던지는 등 모두 12명의 아나운서가 회사를 떠났다”고 밝혔다.
김 아나운서는 “현 경영진과 신동호 아나운서 국장은 비정규직 신분인 11명의 계약직 아나운서 후배들의 약점을 이용해 가장 비열하고 치사한 언론탄압을 또다시 저지르고 있다. 회사와 아나운서국을 이렇게 망쳐놓고도 끝까지 아나운서 동료들의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고 있는 김장겸 사장 등 현 경영진과 신 국장은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최근 퇴사한 김소영 아나운서의 동기인 이재은 아나운서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쫓기듯 프로그램에서 떠나고 마이크를 빼앗기고 하나뿐인 동기가 떠나는 모습을 보며 슬픔을 넘어 자괴감과 패배감이 들었다. 그렇게 1년이 지나고 2년, 5년이 지나도 전혀 좋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 아나운서는 “뉴스를 전하는 사람으로서 확신을 가지고 전해야하는데 수정할 수 없는 앵커멘트를 읽어야 했다.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해야 했다. 뉴스에 들어가게 될까봐 두렵고 무서웠다”는 심경을 전했다.
신동진 아나운서의 폭로도 이어졌다. 신 아나운서는 “사측은 지난 2012년 파업 이후 매달 발간한 ‘아나운서 저널’을 문제 삼았다. 인터뷰 대상자의 성향 때문이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당시 저널에는 해직언론인과 박원순 서울시장, 손석희 JTBC 보도부문 사장 등의 인터뷰를 실었는데, 어떠한 정치적 내용이 실려 있지 않았음에도 ‘왜 하필 박원순-손석희냐’며 불쾌해한다는 얘기를 부장에게 전달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기사가 나가고 아나운서 업무에서 배제된 채 주조실에 발령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사의 기준은 그 사람이 가장 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는 곳으로 발령 내는 것이라고 회사는 말합니다. 제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이 주조의 MD입니까? 김범도 아나운서가 가장 잘하는 게 스케이트장 관리입니까? 황선숙 아나운서는 프로그램 심의하는게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입니까?"라고 반문했다.
신 아나운서는 “아나운서국 소속 50여명 가운데 12명이 퇴사했고 11명의 아나운서가 부당전보됐다”며 “개인의 영달을 위해서 동료 아나운서를 팔아치운 신동호 국장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 MBC 정상화는 신 국장과 경영진의 사퇴에서 시작된다”고 말했다.
이진우 기자 jw85@journalist.or.kr
이진우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
김범도 아나운서는 “지난 2012년 파업 이후 MBC 아나운서들은 대한민국 방송 역사상 유례가 없는 비극과 고통을 겪었다”며 “11명의 아나운서가 부당전보됐고 얼마 전에는 지속적, 상습적 방송출연 금지 조치에 절망한 나머지 김소영 아나운서가 사표를 던지는 등 모두 12명의 아나운서가 회사를 떠났다”고 밝혔다.
김 아나운서는 “현 경영진과 신동호 아나운서 국장은 비정규직 신분인 11명의 계약직 아나운서 후배들의 약점을 이용해 가장 비열하고 치사한 언론탄압을 또다시 저지르고 있다. 회사와 아나운서국을 이렇게 망쳐놓고도 끝까지 아나운서 동료들의 갈등과 분열을 조장하고 있는 김장겸 사장 등 현 경영진과 신 국장은 즉각 사퇴하라”고 촉구했다.
최근 퇴사한 김소영 아나운서의 동기인 이재은 아나운서도 이날 기자회견에서 “쫓기듯 프로그램에서 떠나고 마이크를 빼앗기고 하나뿐인 동기가 떠나는 모습을 보며 슬픔을 넘어 자괴감과 패배감이 들었다. 그렇게 1년이 지나고 2년, 5년이 지나도 전혀 좋아질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이 아나운서는 “뉴스를 전하는 사람으로서 확신을 가지고 전해야하는데 수정할 수 없는 앵커멘트를 읽어야 했다. 언론인으로서의 역할을 포기해야 했다. 뉴스에 들어가게 될까봐 두렵고 무서웠다”는 심경을 전했다.
신동진 아나운서의 폭로도 이어졌다. 신 아나운서는 “사측은 지난 2012년 파업 이후 매달 발간한 ‘아나운서 저널’을 문제 삼았다. 인터뷰 대상자의 성향 때문이었다”고 운을 뗐다. 그러면서 “당시 저널에는 해직언론인과 박원순 서울시장, 손석희 JTBC 보도부문 사장 등의 인터뷰를 실었는데, 어떠한 정치적 내용이 실려 있지 않았음에도 ‘왜 하필 박원순-손석희냐’며 불쾌해한다는 얘기를 부장에게 전달받았다”고 전했다. 그는 “기사가 나가고 아나운서 업무에서 배제된 채 주조실에 발령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인사의 기준은 그 사람이 가장 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는 곳으로 발령 내는 것이라고 회사는 말합니다. 제가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이 주조의 MD입니까? 김범도 아나운서가 가장 잘하는 게 스케이트장 관리입니까? 황선숙 아나운서는 프로그램 심의하는게 가장 잘할 수 있는 일입니까?"라고 반문했다.
신 아나운서는 “아나운서국 소속 50여명 가운데 12명이 퇴사했고 11명의 아나운서가 부당전보됐다”며 “개인의 영달을 위해서 동료 아나운서를 팔아치운 신동호 국장은 즉각 사퇴해야 한다. MBC 정상화는 신 국장과 경영진의 사퇴에서 시작된다”고 말했다.
이진우 기자 jw85@journalis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