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참패 재보선에 세월호 정리하자는 일부신문

주요 신문 사설로 보는 재보선 결과

  • 페이스북
  • 트위치



   
 
  ▲ 한국일보 7월31일자 사설 캡처.  
 
전국 15곳에서 국회의원을 뽑는 7·30 재·보선이 새누리당의 압승으로 끝난 가운데 이날 신문들은 사설을 통해 유권자들의 야당 심판에 두드러진 관심을 보이는 한편 향후 국정운영 방향에 대해서는 미묘한 시각차를 드러냈다.


신문들은 유권자들이 인사 파동과 검·경의 무능함 등 여권의 실책이 잇따랐음에도 여당이 아닌 야당을 심판한 데 공통적으로 주목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의 승리가 새정치민주연합의 공천실패와 지리멸렬함의 반사이득 때문이었다고 분석했다.


동아일보는 “이번 재·보선은 세월호 참사와 박근혜 정부의 대응 미숙, 연이은 인사 실패, 유병언 수사 부실을 감안한다면 야당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환경이었다”면서 “그럼에도 새정치연합이 지방선거 무승부에 이어 재·보선에서 참패했다는 것은 잘못된 정치 행태와 선거 전략에 대한 국민의 준엄한 심판이자 경고라고밖에 달리 해석할 수 없다”고 분석했다.


중앙일보는 “국민이 세월호를 넘어 민생을 선택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세월호가 심각한 사건이었지만 이를 수습하는 방법은 합리적이며 미래지향적이야 한다고 유권자는 판단한 것이다. 야당이 세월호를 정치쟁점화하려는 전략에 유권자는 '노(NO)'를 선언했다”고 밝혔다.


조선일보도 “여권의 실책이 잇따랐는데도 선거 결과는 새정치연합의 몰락이었다”면서 “통상 재·보선은 정권을 중간 평가하는 성격으로 대부분 야당이 크게 이겨왔는데 이번 선거에서 유권자들은 여당이 아닌 야당을 심판했다”고 말했다.


이어 새정치연합의 패배 요인을 분석하면서 “새누리당은 이번의 예상 밖 승리가 자력으로 이룬 게 아니라는 사실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라며 “유권자들은 야당의 행태를 심판했으나 정부·여당의 무능에 대해 눈을 감은 것은 결코 아니다”고 덧붙였다.


경향신문도 “재·보선 결과는 새누리당 승리보다는 새정치연합의 패배가 두드러진다”며 “정부·여당의 실정에 야당답게 제대로 싸우는 투쟁력도, 그렇다고 새정치나 대안능력도 보여주지 못한 새정치연합이 들끓는 민심을 수렴해내지 못한 것은 어쩌면 당연한 업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새누리당은 스스로 잘해 승리했고, 정부·여당의 실정에 면죄부를 받았다고 판단하면 착각”이라며 “선거 결과는 자력으로 거둔 게 아님을 새누리당도 알 것”이라고 주장했다.


한국일보도 “이번 결과는 새누리당이 보수 혁신을 내세우고 공천에서 잡음이 심했던 새정치연합에 비해 상대적 우위에 선 데 힘입은 바 크다”고 분석했다.


신문들은 향후 국정운영 방향에 대해서는 상이한 시각을 드러냈다. 동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는 국가 혁신과 경제 살리기에 국정운영의 초점을 맞춰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는 “이제 중요한 것은 7·30 결과를 수용해 여야가 향후 국정운영에 합리적으로 대처하는 것”이라며 “지난 6·4 지방선거와 7·30 선거는 세월호 사태를 둘러싼 ‘정권심판 정국’이었지만 이제 7·30은 집권세력과 야당 모두에 하나의 분수령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박근혜 집권 1기를 상징하는 단어는 단연코 ‘세월호’였지만 2기는 국가 개조와 경제살리기가 되어야 할 것”이라면서 “정치권의 선도 노력이 있어야 사회 전체가 7·30을 계기로 바다 밑바닥에서 올라올 수 있고 그러한 부상(浮上)이 진정으로 세월호의 희생을 기리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경향신문, 한겨레, 한국일보는 정부와 여당이 승리에 자만해 독선적인 국정운영을 지속하고 세월호를 인위적으로 정리하려 한다면 참화를 자초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겨레는 “지방선거가 끝남에 따라 여야는 세월호 특별법 등 산적한 과제들의 해결에 착수할 것”이라면서 “특별법 협상에 임하는 자세부터 여야가 선거 결과를 얼마나 겸허히 받아들이느냐가 드러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여당의 오만함, 야당의 지리멸렬함에 유권자들은 점차 지쳐가고 있음을 분명히 깨닫기 바란다”며 “특히 여당이 선거 결과에 고무돼 밀어붙이기로 나올 경우 결국은 부메랑으로 돌아올 것임을 명심하기 바란다”고 전했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