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100일, 변하지 않은 대한민국

주요 일간지, 사설 통해 여전한 대한민국 현실 비판

  • 페이스북
  • 트위치



   
 
  ▲ 서울신문 7월24일자 사설 캡처.  
 
세월호 참사 100일째를 맞은 24일, 주요 일간지들은 사설을 통해 세월호 침몰 사고의 상처와 아픔을 되새기는 한편 여전한 대한민국의 현실을 통렬히 비판했다.


경향신문, 세계일보, 중앙일보 등 대부분의 매체들은 정부와 국회, 검찰과 경찰의 무능함과 무책임함을 강하게 질타했다. 중앙일보는 “참사 100일을 맞아 한 조사업체가 국민 1000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10명 중 7명이 세월호 이후 정부에 더 불신을 갖게 됐다고 답했다”며 “가뜩이나 빈약한 우리 사회의 신뢰 자본이 더 바닥을 드러낸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정부는 믿음직한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고 해경·군의 구조 활동은 엉망이었다”면서 “청와대·관계부처도 허둥지둥했고 검·경은 죽은 유병언을 지척에 두고 40여 일간 사상 최대의 수색작전을 펴는 코미디를 연출했다”고 비판했다.


경향신문도 “사고가 왜 일어났는지, 참사가 어떻게 진행됐는지를 가리는 진상규명의 시곗바늘부터 작동불능 상태”라면서 “정부 수립 이후 최대 체포 작전이라고까지 할 정도로 검경이 심혈을 기울였던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검거에 실패한 것은 기울어가는 세월호에서 한 명도 구조하지 못한 해경의 모습과 다를 게 없다”고 질타했다.


이어 “검경 못지않게 정치권도 무능과 무책임에 관한 한 세월호급”이라며 “국회 세월호 국정조사는 지지부진하고 박 대통령과 여야 원내지도부 회동 때 합의했던 특별법 제정조차 난항을 겪고 있는 모습은 4월16일 이전의 정치권 그대로”라고 비판했다.


세계일보도 “세월호 실소유주인 유 전 회장의 죽음을 둘러싼 검찰과 경찰의 행태에는 ‘구멍난 기강’ ‘무능한 검경’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나 있다”면서 “7·30 재보선과 맞물려 세월호 진상 규명을 위한 세월호 특별법도 정쟁 대상으로 변해 버렸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 동아일보, 서울신문 등은 세월호 참사 이후 연이은 안전사고와 허술한 안전실태를 비판하기도 했다. 동아일보는 “본보 기자가 전문가와 함께 동승해 점검해본 연안 여객선의 안전 실태는 이전과 그대로인 것이 적지 않았다”며 “화물차량의 고박은 여전히 부실했고 승객들은 선내 방송과 영상을 통해 흘러나오는 구명조끼 착용법과 비상시 탈출 방법에 대해 무관심했다”고 전했다.


이어 “이런 안전 불감증이 이곳만은 아닐 것”이라며 “사회 곳곳에서 행해지는 안전점검도, 재난 대피 훈련도 태반이 건성으로 이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국민일보도 “안전불감증이 여전하다”며 “2기 내각을 꾸려 국가혁신을 다짐했지만 후진적 인재(人災)는 하루가 멀다 하고 터져 나오고 있다”고 비판했다.


서울신문도 “이제부터라도 사고를 막아보자는 각오를 비웃듯이 사고는 참사 직후 연달아 터져 나왔다”며 “사고는 제자리에서 제 할 일을 제대로 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난다. 이준석 선장과 같은 부류의 사람들이 존재하는 한 사고는 언제 어디서라도 다시 우리를 덮칠 것”이라고 전했다.


한겨레와 한국일보 등 일부 매체는 세월호 특별법의 조속한 통과를 주장하기도 했다. 한겨레는 “특별법으로 만들어질 조사위원회에 수사권과 기소권을 주는 문제가 쟁점이라지만, 정부의 부실과 무능이 핵심적인 규명대상인 이번 사건에서 독립적이고도 철저한 조사를 할 수 있도록 위원회 기능을 강화하는 것은 당연한 전제일 수밖에 없다”면서 “세월호 참사를 잊지 않겠다면 특별법 제정을 더는 미루지 말아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일보도 “대형사고 때마다 냄비처럼 들끓다 어설프게 봉합하고 결국 다시 참사를 겪는 악순환을 끊으려면 이제부터라도 혁신의 고삐를 죄어야 한다”면서 “그 첫걸음은 하루속히 세월호 특별법을 만들어 검찰 수사와 감사원 감사, 국회 국정조사로도 풀지 못한 참사의 진상을 철저히 밝히는 데서 시작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아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