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들 트위터 사용지침 필요하나

"이용은 개인의 선택" "언론사 입장으로 오인"

  • 페이스북
  • 트위치

   
 
  ▲ 김주하 기자 트위터 중.  
 
기자들의 트위터 사용이 잇달아 구설에 휘말리면서, 사용 지침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일고 있다. 그러나 ‘자유로운 소통’이라는 트위터 본연의 가치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의견도 있어 논란이 불가피해 보인다.

MBC 김주하 기자(뉴스24 앵커)는 얼마 전 ‘천안함’ 관련 내용을 트위터에 올리면서 홍역을 치렀다. 김 기자는 지난달 26일 오후 11시41분부터 천안함 사고 소식을 트위터를 통해 전했다. 그러던 중 45분께 “북한 반잠수정 침몰시킨 듯”이라는 메시지를 올렸다.

그는 2시간여 뒤인 오전 2시20분 “군관계자에 따르면 북한 반잠수정으로 발표한 미확인 물체는 새 떼일 수도 있다”는 설명을 덧붙여 전했다. 하지만 트위터 이용자들은 당시 “지상파 뉴스 앵커가 (정부의) 추측을 기정사실화해 전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30일 김 앵커는 “아마도 힘들 것 같다”는 메시지를 남겨 트위터 이용을 그만두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다.

그러나 김 기자는 트위터 사용을 계속했다. 대신 MBC 보도국 차원에서 김 기자에게 트위터 사용 경위를 묻는 ‘경위서’ 작성을 요구, 논란이 됐다. MBC 측은 김 기자의 트위터 사용이 공적인 것인지, 사적인 것인지 묻는 차원이었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KBS, 매일경제 청와대 출입기자는 엠바고가 걸린 경제수석 등 인사발표를 트위터에 먼저 올려 출입기자단 운영위원회로부터 5일간 출입정지 당하기도 했다.

이러면서 언론사 안팎에서는 스마트폰 열풍과 함께, 유행처럼 번진 트위터 개설이 최근 들어 주춤한 모양새다.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만드는 등 기자들의 트위터 사용을 통제해야 한다는 주장마저 제기되고 있다.
한 신문사 기자는 “트위터가 공적 영역에 있고 기자는 공인에 해당되는 만큼, 메시지 전달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 것은 맞다”면서도 “트위터를 이용하는 것은 개인의 호불호일 뿐 회사 차원으로 장려하거나 단속할 사안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른 신문사 부장급 기자는 로이터와 월스트리트저널 등 외국 신문사들이 트위터 가이드라인을 만든 것을 예로 들며 “기자가 개인 성향을 일반인에게 과도하게 노출하는 것은 자칫 공정성 논란을 불러올 수 있다”며 “더군다나 개인 차원의 이야기라고 하더라도 회사 차원으로 오인할 수 있어 사용 지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곽선미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