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 '광고협박' 메일 일파만파
"언론 전체 명예 훼손·미봉책 안된다" 언론계 반발
금융권에 전달된 김종현 매일경제 금융부장의 협박성 메일과 관련 매경이 김 부장을 타 부서로 발령하는 선에서 사건을 마무리하려 하자 언론계에서는 “그 정도의 미봉책으로는 안된다”며 반발하는 등 파문이 계속되고 있다.
매경은 지난 9일자로 김 부장을 관리국으로 전보발령했다. 이숙로 총무부장은 “보직해임에 따른 관리국 전보발령은 중징계에 해당한다”면서 “김 부장은 현재 특별한 보직없이 대기발령 중”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언론노조는 지난 9일 성명을 내고 이 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과 매경 경영진의 책임있는 해명을 요구했다. 언론노조는 성명서에서 “담당자를 잠시 다른 부서로 이동시키며 이 사건을 무마하려 하거나 어설픈 미봉책과 은폐로 무마하려 한다면 이는 국민과 독자에 대한 또 하나의 배신행위”라고 주장하며 장대환 사장의 언론계 퇴진을 요구했다.
이번 사건이 불거진 후 금융권 등 경제부처를 출입하고 있는 기자들 사이에서도 “언론계 명예를 훼손했다”며 “재발방지를 위한 자정노력이 시급하다”는 진단이 나오고 있다. 한 일간지 금융팀 기자는 “잘 아는 금융권의 취재원이 이메일을 보내줘 봤는데 얼굴이 후끈거렸다”면서 “경제부나 금융팀 출입기자들이 모두 모여서 자정성명이라도 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금융권을 10여년간 출입한 한 일간지 기자는 “있어서는 안될 충격적인 일이지만 이번 일을 김 부장의 개인적인 실수로 치부해 타 부서로 전출시키는 정도로 무마하려 해서는 안된다”면서 “재발방지를 위한 근본적 수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기자가 광고유치에 ‘동원’되고 기사 잘쓰는 기자보다 광고나 협찬을 잘 따오는 기자가 유능한 기자로 인정받는 일부 경제지의 잘못된 경영방식이 바뀌어야 한다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 금융권 홍보팀장도 “기사와 광고의 연결고리를 떼지 않으면 금융권과 기자들의 관계가 제대로 설정될 수 없다”고 충고했다.
김종현 전 금융부장은 지난 3일과 5일 모두 세 차례에 걸쳐 “합당한 대우를 해주지 않을 경우 반드시 그만한 대가를 치를 수도 있다. 묵과하지 않겠다”는 내용의 협박성 이메일을 금융권 홍보실 관계자들에게 보내 물의를 빚었다.
전관석 기자 sherpa@journalist.or.kr
전관석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Copyright @2004 한국기자협회.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