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기자단 "청와대 고위 당국자 발언에 유감"

통일부 기자단 17일 성명

  • 페이스북
  • 트위치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2일 오후 경기도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으로부터 고 이희호 여사 조화를 전달 받고 있다. (사진=통일부 제공). 뉴시스.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12일 오후 경기도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김여정 노동당 선전선동부 제1부부장으로부터 고 이희호 여사 조화를 전달 받고 있다. (사진=통일부 제공). 뉴시스.


통일부 출입기자단이 "(정부가 고 이희호 여사 서거 관련 북측의 조의문 전달 영상을 묵음처리해 배포한 것은) 기자단과 합의할 대상이 아니었다”는 청와대 고위 당국자의 발언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는 성명을 냈다. 기자단 성명에는 통일부에 출입하는 51개 언론사 중 44곳이 참여했다. 

지난 12일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은 판문점을 통해 고 이희호 여사 별세에 대한 김정은 국무위원장 명의의 조의문과 조화를 전달했다. 우리측 인사로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호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 박지원 민주평화당 의원 등이 자리했다. 

이후 통일부는 당시 상황을 담은 영상을 언론에 제공했지만 이 영상엔 대화 내용 등 현장 음성이 모두 삭제돼 있었다. 앞서 기자단은 사안의 특수성 등을 감안해 정부 전속 인력이 촬영한 사진과 영상을 제공받기로 통일부 측과 협의했었다. 특히 기자단은 남북 평화에 큰 발자국을 남긴 이 여사에 대한 김 부부장의 언급은 보도할 가치가 높은 만큼 영상 속 음성을 삭제하지 말 것을 요청했고, 통일부도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상태였다.

기자단과 통일부가 미리 협의를 거쳤음에도 당일 저녁 정부는 기자단에 사전 설명이나 양해 없이 일방적으로 음성을 삭제한 영상을 제공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4일 청와대 고위 당국자는 이번 일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저희들(정부)이 북측 판문점 지역에 전속(촬영인력)이 들어가서 촬영을 하기로 결정하고 그것을 배포했으면 되는 부분이었다. 그것이 통일부 출입기자단과 협의할 대상은 아니었다”고 답변했다. 

이에 대해 통일부 기자단은 17일 성명을 내고 “통일부와 기자단이 사전 협의해 온 신뢰·협력 관계를 무시하는 무책임한 언급이라고밖에 볼 수 없다”고 지적했다.

성명에서 기자단은 “한반도 정세의 미세한 움직임에 예민하게 촉각을 곤두세우며 취재·보도에 매진하고 있다. 또 보다 생생한 뉴스의 현장을 독자와 시청자들에게 전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다”면서 “기자단을 대표하는 간사단이 12일 이 여사에 대한 북측의 조화 전달 영상에서 ‘음성을 지우지 말라’며 당국에 촉구했던 것도 이 같은 고민의 결과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자단은 “남북관계 개선과 발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정착에 대한 기자단과 정부의 염원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엄연한 상대가 있는 대북, 외교안보 정책을 추진하며 때로는 남북 대화와 접촉의 내밀한 부분을 공개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기자단은 "그러나 지난 14일 청와대 고위 당국자의 발언처럼 과도하게 비밀주의를 추구하며 정부와 기자단 사이의 협력 체계를 부정하고, 나아가 독자와 시청자의 알 권리를 입맛대로 재단할 수 있다는 인식은 곤란하다”라며 “이에 기자단은 해당 발언을 한 청와대 고위 당국자에게 유감의 뜻을 밝힌다. 정부는 향후 남북 대화와 접촉, 방북 등과 관련해 독자와 시청자의 알 권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감안해 북측과 협의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다음은 통일부 기자단의 성명 전문. 

통일부 출입기자단(이하 기자단)은 지난 14일 청와대 고위 당국자가 백그라운드 브리핑에서 남북관계 관련 보도에 대해 독자와 시청자의 알 권리는 물론 충실한 사실전달을 위한 기자단의 노력을 경시하는 발언을 한 것에 이의를 제기합니다.

기자단은 지난 12일 북측이 판문점을 통해 고 이희호 여사에 대한 조의문과 조화를 전달하는 상황에 즈음해 지역적 특수성과 시간적 제약 등을 감안해 정부 전속 인력이 촬영한 사진, 영상을 제공받기로 통일부 측과 사전 협의했습니다. 이때 기자단은 영상 속 음성을 삭제하지 말 것을 특별히 통일부에 요청했습니다.

남북 간 화해와 평화정착에 큰 발자국을 남긴 이 여사에 대한 북측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언급은 보도할 가치가 높은 요소이고, 그의 음성이 공개되는 것이 알 권리에도 부합한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또 김 제1부부장이 전하는 추모 메시지는 각별하게 비밀을 유지해야 하는 사안도 아니라고 봤습니다. 통일부도 이러한 기자단의 요청에 공감하며 ‘음성을 포함한’ 영상을 제공하도록 노력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러나 정부는 당일 저녁에 사전 설명이나 양해 요청 없이 일방적으로 음성을 삭제한 영상을 기자단에 제공했습니다. 이에 기자단은 통일부에 이러한 결정이 이뤄지게 된 경위를 설명할 것을 요구했습니다. 통일부는 13일 음성이 삭제된 영상이 기자단에 제공된 경위를 설명하고 유감을 표명했습니다.

그동안 기자단은 현실적 이유로 남북관계 사안에 대해 종종 정부 전속 인력이 촬영한 사진과 영상을 제공받아 왔습니다. 뉴스가 발생하는 공간에 취재진이 출입하는 것이 여의치 않은 경우도 많기 때문입니다.

기자단은 경우에 따라 정부가 제공하는 영상에 음성․음향을 삭제되는 것에 대해서도 불만스럽지만 남북관계의 특수성과 공익 등을 고려해 수용해왔습니다. 다만 이때 통일부와 기자단은 통상적으로 사전 협의를 거칩니다. 정부가 제공하는 콘텐츠는 궁극적으로 보도를 전제로 한 것이기 때문에 사전 협의는 너무도 자연스럽고 일상적인 절차입니다.

이러한 가운데 청와대 고위 당국자는 14일 기자단과 통일부 간 사전 협의에도 불구하고 ‘묵음 처리’된 영상이 제공된 것에 대한 취재진의 질문에 “저희들(정부)이 북측 판문점 지역에 전속(촬영인력)이 들어가서 촬영을 하기로 결정하고 그것을 배포했으면 되는 부분이었다”면서 “그것이 통일부 출입기자단과 협의할 대상은 아니었다”고 답변했습니다.  

이는 통일부와 기자단이 사전 협의해 온 신뢰․협력 관계를 무시하는 무책임한 언급이라고밖에 볼 수 없습니다.

기자단은 오늘도 한반도 정세의 미세한 움직임에 예민하게 촉각을 곤두세우며 취재․보도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또 보다 생생한 뉴스의 현장을 독자와 시청자들에게 전하기 위해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자단을 대표하는 간사단이 12일 이 여사에 대한 북측의 조화 전달 영상에서 ‘음성을 지우지 말라’며 당국에 촉구했던 것도 이 같은 고민의 결과였습니다.

남북관계 개선과 발전,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인 평화 정착에 대한 기자단과 정부의 염원은 다르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엄연한 상대가 있는 대북, 외교안보 정책을 추진하며 때로는 남북 대화와 접촉의 내밀한 부분을 공개하지 못하는 상황에 대해서도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닙니다.

그러나 지난 14일 청와대 고위 당국자의 발언처럼 과도하게 비밀주의를 추구하며 정부와 기자단 사이의 협력 체계를 부정하고, 나아가 독자와 시청자의 알 권리를 입맛대로 재단할 수 있다는 인식은 곤란합니다.

이에 기자단은 해당 발언을 한 청와대 고위 당국자에게 유감의 뜻을 밝힙니다. 정부는 향후 남북 대화와 접촉, 방북 등과 관련해 독자와 시청자의 알 권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감안해 북측과 협의하길 바랍니다.

2019년 6월 17일

경향신문 국민일보 내일신문 서울신문 세계일보 조선일보 중앙일보 한국일보 문화일보 연합뉴스(국문․영문) 부산일보 KBS SBS YTN CBS PBC BBS MBN 코리아헤럴드 코리아타임즈 뉴시스 매일경제 서울경제 한국경제 오마이뉴스 민중의소리 프레시안 헤럴드경제 데일리NK 파이낸셜뉴스 OBS 아시아경제 국제신문 중앙데일리 아시아투데이 머니투데이 아주경제 이데일리 뉴스1 데일리안 미디어펜 연합뉴스TV JTBC TV조선  ※매체명 무순
김달아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