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젠 통일부마저 탈북민을 2등 국민으로 여기는 겁니까"

통일부, 탈북민 출신 기자에 남북고위급회담 취재 불허 통보 논란

  • 페이스북
  • 트위치

“너무 마음 아프고 분통 터진다.”

 

통일부가 탈북민 출신 기자의 남북회담 취재를 일방적으로 불허해 논란이 되고 있다. 통일부는 15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열리는 남북 고위급회담에 풀기자단으로 참여할 예정이었던 김명성 조선일보 기자에게 회담 당일 취재 불허를 통보했다. 

 

김 기자가 취재 불허를 통보받은 것은 이날 아침, 남북회담본부로 가는 택시 안에서였다. 통일부 대변인은 전화로 “(조선일보에서) 풀기자를 바꾸지 않으면 김 기자는 올라갈 수 없다”고 말했다. 판문점으로 출발하기 약 1시간 전이었다. 

 

남북고위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비롯한 대표단이 15일 오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남북고위급회담 출발 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 천해성 통일부 차관, 조 장관,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 /뉴시스

▲남북고위급회담 남측 수석대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비롯한 대표단이 15일 오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남북고위급회담 출발 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왼쪽부터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 천해성 통일부 차관, 조 장관, 노태강 문화체육관광부 2차관,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 /뉴시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출발 직전 김 기자와 통일부 출입기자단 간사를 만나 “판문점이라는 공간이 협소한데다가 김 기자가 활동을 많이 해서 북측이 인지할 가능성이 있고, 회담에 지장이 있을 수 있다”며 “풀취재에 가지 않는 게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 기자는 “협조를 부탁한다고 했지만 립서비스고, 일방적인 통보였다”고 전했다. 

 

이상한 ‘낌새’는 하루 전부터 느껴졌다. 회담에 참가하는 통일부 관계자가 14일 김 기자에게 언제 북한에서 나와 남한에 들어왔는지를 물으며, “판문점에 북측 기관원이 올 수도 있고, 김 기자를 알아볼 지도 모르니 내 옆에 붙어 있으라”고 당부한 것이다. 

 

통일부는 이후 기자단 간사를 통해 조선일보 풀기자를 바꿔줄 것을 요청했다. 하지만 기자단이 풀취재 언론사를 정하면, 보낼 기자를 정하는 것은 해당 언론사의 권한이다. 김 기자는 앞서 지난 2월 평창 동계올림픽 때 강릉에 온 김여정 조선노동당 부부장을 풀취재한 경험이 있었다. 김 기자는 “그때도 통일부에서 우려를 했지만 아무 일도 없었고, 이번 회담은 우리 주권이 보장되는 우리 측 지역에서 열리는 것이기 때문에 회사에서도 바꾸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통일부가 처음부터 문제제기를 해서 바꿔달라고 요청했다면 충분히 숙지하고 그럴 수도 있겠구나 했을 텐데, 회담 전날 오후에 이런 상황이 벌어지니 회사로서도 납득할 수가 없고 기자를 바꾸는 게 물리적으로도 불가능했던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평창올림픽 때 통과의례를 치렀다고 생각했기에, 이런 일이 생기리라곤 생각도 못했다”고 덧붙였다. 

 

김 기자는 2002년 남한으로 넘어와 2013년 기자가 됐다. 언론계에 살아남기 위해 노력하면서 주변에 피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최대한 나서지도 않고, 행동도 조심하며 살았다. 지난 2월 김여정 부부장을 풀취재할 때도 주위의 우려를 알기에 준비해간 질문도 하지 않고, 남북 관계 개선을 위한 정부의 노력에 최대한 협조하기 위해 애썼다. 그런 김 기자는 “최대한 자제하면서 분명히 내가 할 일만 하려고 노력해왔는데 이런 순간을 맞게 되니 그간의 노력들이 무너지는 듯한 허무한 생각도 들고 마음이 아프다”고 말했다.

 

그는 “설사 북한이 그런(탈북민 기자 배제) 요구를 하더라도 우리 정부가 나서서 부당한 요구다, 간섭이다 제지할 건 하면서 가야 하는데, 북한이 어떤 요구도 안 했는데 심기를 거스를까봐 알아서 탈북자를 배제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면서 “우리 탈북민 3만2000명을 책임지는 주무부처이자 탈북민을 품에 안아야 할 통일부가 먼저 알아서 탈북민을 배제한다는 건 통일부 당국자의 인식 속에 탈북민은 우리 국민이 아니라 2등 국민이라는 생각이 있는 것 아닌가”라고 꼬집었다.

 

그는 “너무 큰 상처를 받았다. 이제 우리가 의지해야 할 곳은 어디인지 막막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이렇게 통일부에서 보이지 않게 눈치를 주고 배제한다면 나는 다음 풀에서도 배제될 게 뻔하고 기자로서도 반쪽짜리가 되어 버릴 것”이라며 “생존의 절망으로 몰아가는 것 같다”고 착잡함을 호소했다.

 

한편 통일부 기자단은 이날 오전 김 기자 취재 불허 문제와 관련해 대책회의를 열고 기자단의 입장을 담은 성명서를 발표하고, 조명균 장관과의 공식 면담과 해명을 요청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고은 기자 nowar@journalist.or.kr

김고은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