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신저 링크 기사에 부가정보 제공하면 "가짜뉴스 유통 줄일 수 있다"

언론재단 '가짜뉴스 현황' 발간
언론사 등록여부 등 긍정 효과

  • 페이스북
  • 트위치

국내 ‘가짜 뉴스’ 문제해결을 위해 플랫폼 사업자가 모바일 메신저 등을 통해 유통되는 링크에 부가정보를 제공토록 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최근 발간한 ‘가짜 뉴스 현황과 문제점(오세욱, 정세훈, 박아란)’에서 “가짜 뉴스가 보통의 경우 모바일 메신저 등을 통해 링크 형식으로 공유되고 있는 점을 감안해, 모바일 메신저 등을 운영하는 플랫폼 사업자가 링크에 대한 부가정보를 제공하자는 것”이라며 이 같이 제안했다. 현재 모바일 메신저에 링크를 입력하면 기사제목, URL, 기사 첫 문장, 관련 이미지 등이 자동으로 제공되는 데 더해, 링크와 해당 링크 문서가 인터넷 언론사로 등록됐는지 여부, 내용의 작성일시, 현재 관련 신고로 심의 중인지 여부 등을 자동으로 파악해 함께 제공하자는 것이다.


이 같은 제안은 카카오톡, 라인 등 모바일 메신저가 국내 인터넷 서비스 중 가짜라고 판단되는 뉴스를 직접 받아 보는 가장 주된 경로라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다. 연구서에 따르면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가짜뉴스를 받아봤다는 응답자는 39.7%(지난해 3월17~19일 20~50대 성인남녀 1084명 대상 온라인 설문조사)에 이르렀다. 페이스북이나 트위터 등 소셜 플랫폼이 27.7%, 인터넷 카페나 커뮤니티 등이 24.3%로 뒤를 이었다.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카카오톡을 통해 전달되는 링크와 함께 제공되는 정보의 양에 차등을 두어 평가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검증(20세부터 70세까지 성인남녀 713명 대상 실험)했다. 그 결과 링크 출처에 현행 수준의 기본 정보만 제공될 때보다 정보량이 중간(기본정보+언론사 등록여부) 또는 많을 때(기본정보+언론사 등록여부+기사심의 여부)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가짜 뉴스 인식과 사회적 심각성 인식이 증가했고, 링크 확인과 전파하고자 하는 의도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왔다는 의미다.


연구서 책임연구자인 오세욱 언론재단 선임연구위원은 “언론사 등록여부(정보량 중간)만 제시해도 충분히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난다는 결과가 나왔다. 현재 언론사는 등록제이기 때문에 언론사 URL을 등재한 후 이를 전산화해 플랫폼에 제공하는 건 기술적으로 어렵지 않게 구현 가능하다”며 “심의정보 등도 추후 유관 기관 등과의 협의를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최승영 기자 sychoi@journalist.or.kr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