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언론도 포털 공동대응 가능할까

NYT·WP 등 美 매체들 구글·페북에 수익배분 요구

  • 페이스북
  • 트위치

언론발전기금 분담 요구 있지만

합작회사 운영 등 이해관계 복잡


뉴욕타임스, 워싱턴포스트 등 미국 온·오프라인 매체 2000여 곳을 대표하는 미국 ‘뉴스미디어연합’이 지난 9일 구글과 페이스북 등 온라인 플랫폼과의 수익배분에 대한 단체협상을 요구했다.


온라인 트래픽의 70%를 독점한 구글과 페북이 연간 온라인 광고수입의 70%인 730억달러(약 84조원)를 벌어들이는 데 비해 합당한 지불을 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다. 국내 포털과 언론 간의 갈등 양상이 미국에서도 불붙기 시작한 셈이다.


강석 텍사스 주립대 교수(커뮤니케이션학)는 “페북의 인스턴트 아티클스나 구글의 서비스가 언론사들에게 수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했지만 두 거인만 더욱 살찌우는 결과로 나타났다”며 “현재 미국 언론사의 약 65% 이상이 디지털 유료모델을 채택했는데 페북과 구글은 이 유료모델에 역행하고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온·오프라인 매체 2000여 곳을 대표하는 미국 ‘뉴스미디어연합’이 지난 9일 구글과 페이스북 등 온라인 플랫폼과의 수익배분에 대한 단체협상을 요구한 가운데 국내 언론계에도 이런 움직임에 또다시 나서고 있다.

미국 언론사 역시 온라인 유료독자를 늘리는 데 한계치에 다다르면서 새로운 활로를 찾기 위한 움직임이란 해석도 나온다.


엄호동 미디어디렉션연구소장은 “디지털 유료 독자들을 늘려왔던 미국 언론들이 디지털 독자들을 확대하는 데 한계치에 점점 다가가면서 이에 대한 돌파구를 찾기 위해 페북과 구글에 수익 분담금 문제를 제기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실제로 뉴욕타임스의 경우 미국 트럼프 대통령과 각을 세우면서 지난 1분기 온라인 유료독자수가 220만명에 이르는 등 ‘트럼프 범프(Trump Bump)’로 불리는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최근 긴축 경영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0일자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NYT는 호황에도 불구하고 뉴욕 맨해튼 8번가에 있는 52층짜리 사옥의 20층부터 5개 층을 법률회사에 세를 주고 긴축경영에 들어갔다. 구독자 수는 늘었지만 종이신문의 광고수입이 예상보다 빨리 위축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도했다.


국내 언론계 역시 최근 포털과의 수익금 배분 문제가 또다시 도마에 올랐다.
박대출 자유한국당 의원이 지난 5월 포털 광고 매출액의 일부를 방송통신발전기금으로 분담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일부 개정법률안’을 발의한 데 이어 신문협회도 지난 14일 포털 매출액 일부를 언론진흥기금으로 분담해야 한다는 제안서를 문화체육관광부에 제출했다.


하지만 미국 언론과 달리 국내 언론계가 수익배분 문제를 공동 대응하기 위해 넘어야 할 산이 적잖다는 게 언론계의 대체적인 반응이다.


포털은 그동안 언론계의 이런 요구에 대해 전재료를 지급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했을 때 국내 기업에 대한 역차별이라고 주장해 왔다.


더구나 포털과 언론계 간 얽히고설킨 관계도 이런 논의가 본격화될 때 장애요인이다. 네이버는 종합편성채널의 광고대행사인 미디어렙사에 출자했을 뿐 아니라 지난해 2월부터 주요 종합일간지·경제지와 잇달아 합작회사를 설립했기 때문이다. 언론사의 이해관계가 상의한 탓에 언론계 공동전선을 형성한다는 게 말처럼 쉽지 않은 대목이다.


한 언론사 관계자는 “네이버가 지난 5일 광고수익과 기부펀드를 조성해 언론사에 수익을 나눠주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면서도 “그러나 네이버의 자율적인 상생노력과는 별개로 온라인 뉴스시장에선 이익을 사실상 독점하고 있기 때문에 펀드 이외에 다른 상생모델에 대한 언론계의 요구가 크다”고 강조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