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력 관리와 동떨어진 인사시스템

붙박이 출입처에 부서 배치 불만
조선 '인사전담 에디터' 도입키로

  • 페이스북
  • 트위치

경제지 A기자는 똑같은 출입처만 5년 넘게 붙박이로 출입하다 보니 비전을 고민할 수밖에 없다. 경력 관리 등을 위해 한 부서에 머무르는 것보다 다양한 부서를 경험하는 게 유리한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이다. 더구나 회사 매출에 기여도가 큰 산업부 등 매출 부서와 비매출 부서 간 차이를 간과한 채 인사평가가 이뤄지다보니 이직까지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A 기자는 “부서를 바꿀 때 양 부서 간 한 사람씩 오가야 하기 때문에 해당 부서 부장의 입김이 중요하다”며 “그렇다보니 조직에 고분고분하고 매출을 많이 올리는 기자들만 우대를 받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부서배치 등을 둘러싼 갈등이 되풀이 되면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실제로 조선일보의 경우 이런 유사한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이르면 연말부터 ‘인사 전담 에디터’를 별도로 둘 예정이다. 인사 전담 에디터 제도는 기자 개개인과 심층 상담 등을 통해 장점과 희망부서 등을 파악하고, 이를 부서배치 등 인사에 반영함으로써 개인의 커리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기자들의 사기진작 등을 위한 측면도 있지만 주니어급 기자들의 부서 배치에 대한 불만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다. 이런 분위기를 반영해 조선일보는 최근 편집국장·편집부국장이 기자 개개인을 대상으로 한 개별 면담을 진행하고 있는데 창간 이후 사실상 처음 있는 일이다.


중앙일보 역시 통합뉴스룸 이후 부서 배치에 대한 문제가 부상했다. 본격적인 통합뉴스룸 시행에 따른 첫 인사인 지난 7월 인사에서 산업데스크(전 경제부문 중 산업부) 부원 20여명 중 9명이 중앙일보플러스에서 파견 온 기자들로 채워지면서 주니어급 기자들을 중심으로 이런 문제가 제기됐다. 중앙일보 한 기자는 “지난 7월 인사에서 산업데스크 TO 절반 가까이 자매지 기자들로 채워지면서 중앙일보 기자들의 TO가 줄어드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왔다”고 전했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부서 배치에 따른 불만이 이직으로 이어지는 경우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회사를 그만두는 게 부서 배치 외에 복합 요인이 작용했을 가능성이 크지만 적어도 회사의 비전을 판단하는 기준이라는 점은 부인할 수 없다고 언론계 관계자들은 설명했다.


문제는 일부 언론사에만 해당하는 고민이 아니라는 점이다. 특히 신문 산업이 어려워지면서 부서배치에 대한 문제는 두드러질 수밖에 없다. 신문사 입장에선 출입처인 기업과의 관계를 감안해 안면을 트고 기업 내부 속사정까지 구석구석 잘 알고 있는 기자들을 중용할 수밖에 없는 반면 주니어급 기자들은 능력을 평가 받기 전에 이런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기 때문에 불만이 크다.


더구나 출입처에 따라 신문부수 확장, 사업 등을 할 수 있는 출발선이 다르고 여기에 따라 붙은 인센티브마저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선호하는 부서와 기피하는 부서 간 수요·공급의 불균형이 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다.
이런 불만을 해소하기 위해 조직 전체를 한 번에 갈아 엎을 수는 없지만 조직 부담을 최소화하는 선에서 일정 기회를 줘야 한다는 게 기자들의 공통적인 생각이다.


한 신문사 노조위원장은 “5년이든, 10년이든 일정 기간 동안 적어도 한번 정도는 본인이 원하는 부서를 배치해 스스로뿐 아니라 회사 역시 그 사람의 능력을 평가하는 것이 올바른 인사 방향”이라며 “그러나 지금은 그런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는 게 문제”라고 지적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