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경영악화 구성원에 떠넘기나

광고매출 최대 800억원 감소
임금 삭감에 KBS 임협 결렬
"직원들 고통 분담만 강요해"

  • 페이스북
  • 트위치

KBS, MBC, SBS 등 지상파 방송사의 3분기까지 광고매출이 지난해보다 500억~800억원 가까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 방송사가 경영위기 극복을 위한 조치로 인건비 삭감과 복리후생 축소 등을 전면에 내세우면서 경영진이 구성원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온다.


방송사 관계자 등에 따르면 올해 1~9월 지상파 방송사의 광고매출은 KBS 3008억원, MBC 2897억원(지역포함 4391억원), SBS 2688억원(지역포함 3458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KBS 약 795억원, MBC 약 518억원, SBS 약 487억원이 감소한 결과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15년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 공표집’에 따르면 지난해 1~12월 지상파 사업자의 광고매출은 KBS 약 5025억원, MBC 약 4651억원, SBS 약 4366억원이었다. 방송사 내부에서는 현재까지의 감소폭과 추세를 감안하면 KBS는 1000억원, MBC는 700억원의 광고매출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BS 역시 수백 억 원 대 매출감소로 ‘선방’하겠다는 목표를 잡고 있을 정도다.


▲올해 지상파 3사는 광고매출 감소 등에 따라 중간광고 도입 여론을 활성화하기 위한 토론회 자리 등을 여러차례 후원해왔다. 사진은 지난 7월 한국방송학회가 주최한 ‘방송광고 법제의 합리화를 위한 정책 방향 제언’ 토론회. (한국방송협회 제공)

이대로라면 지상파 3사는 최근 5년간 방송광고 매출에서 가장 극심한 낙폭을 겪게 된다. 2012~2015년 기간 각 지상파 사업자가 가장 크게 광고매출 감소를 기록한 해는 2013~2014년이다. 당시 KBS는 약 570억원, MBC와 SBS는 약 330억원의 광고매출이 전년에 비해 줄었다. 특히 이 같은 상황은 특별한 악재가 없는 가운데 벌어졌다. 크게는 온·오프라인 간 매체 위상변화라는 흐름 속에서, 또 종합편성채널(종편)과 CJ E&M 등 유료방송들이 약진하는 국내 현실 속에서 지상파의 영향력 감소가 극명히 드러난 것이다.


이와 관련 올해 네이버의 상반기 광고매출이 약 1조4000억원에 달해 동 기간 지상파 3사 매출의 두 배에 육박한다는 보도가 나온 바 있다. 또 전체 지상파 사업자들이 방송광고 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은 2006년 75.8%에서 2015년 55.0%까지 떨어진 상태다.


이에 지상파 3사는 ‘비상경영, ‘긴축경영’ 방침을 밝히며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문제는 일부 방송사에서 구성원들의 인건비 삭감과 복리후생 축소 등을 거론하며 경영위기의 책임을 구성원에게 떠넘기는 행태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현재 이 같은 문제를 가장 극심히 겪고 있는 곳은 KBS다. KBS노사가 그간 진행해 오던 임금협상은 지난 24일 파국을 맞아 중앙노동위원회 쟁의 조정 신청을 앞두고 있다. 언론노조 KBS본부는 이날 성명에서 “경영위기를 핑계삼아 임금삭감 등 직원들의 일방적인 고통 분담만을 강요하고, 호시탐탐 ‘성과 퇴출제’ 도입을 노리는 사측과의 협상은 더 이상 무의미하다”고 밝혔다.


KBS본부는 사측의 막무가내식 임금삭감 등이 협상 결렬의 원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지난 10일 노보에 따르면 사측은 임금삭감 9.9%(이후 -8.0%로 수정), 복지카드 지원금 절반으로 축소, 현행보다 50% 이하로 낮춰진 연차수당 지급기준, 능력급제 범위 확대 등을 주장했다. 이들은 지상파 광고매출 감소를 거론하면서도 “하지만 사업비와 당기순손익이 18억원 가량 많다. 연초 계획한 틀 안에서 KBS 수지상황이 조정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경각심은 갖되 사측의 과장된 위기 프레임을 똑바로 바라봐야 하는 이유”라고 밝혔다.


MBC와 SBS 내부에서는 아직까지 눈에 띄는 근로조건의 변화는 없다고 밝히고 있다. 다만 MBC는 10월 들어 일부 프로그램에 대한 예산 절감, 연차휴가 촉진제 시행 방침 등을 밝혔고, SBS는 최근 구성원 5명을 대상으로 ‘희망퇴직’을 실시한 가운데 임·단협을 앞두고 있는 상태다.


SBS 노측 한 관계자는 “본 협상이 시작되면 사측에서 안을 내놓을 순 있겠지만 아직까진 오리무중”이라며 “노보 등을 통해 ‘책임경영’에 대한 지적을 해왔기 때문에 일방적으로 ‘고통분담을 하자’는 식으로 나오기엔 부담스러운 구석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승영 기자 sychoi@journalist.or.kr


최승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