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저신문 기자들 잇단 이직 행렬

언론환경 변화로 비전 사라지고 업무부담 가중

  • 페이스북
  • 트위치

최근 들어 메이저 신문사 소속 기자들이 타 방송사나 기업 등으로 이직하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기자들의 이직이 어제오늘 얘깃거리는 아니지만 최근엔 비전 문제 등에다 업무 강도까지 더해져 젊은 기자뿐 아니라 중견급 이상 기자들 역시 이직 대열에 합류하고 있다.


조선일보는 올 들어 입사 5년차 미만 기자 3명이 퇴사했고 기자경력 14년 차인 이모 기자도 지난 3월 식약처로 자리를 옮겼다. 이어 다음 달엔 입사 25년 차인 김모 기자가 SKT로 이직한다.


특히 젊은 기자들이 그만 둔 것은 비전 문제뿐 아니라 부서 배치 등에 대한 불만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는 것이 조선 내부 분석이다. 낮은 연차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근무환경이 열악한 부서에 머무르는 기간이 길어지고, 앞으로도 이런 현상이 크게 개선되지 않을 것이란 생각이 반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조선일보 한 기자는 “경제·산업부 등 일부 부서는 경력 공채로 들어온 기자들로 자리가 채워지다 보니 5년차 미만의 젊은 기자들은 대부분 사회부나 디지털뉴스본부 등에 머무르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동아일보 역시 최근 3개월 새 10년차 이상 기자 3명이 나가는 등 잇단 중견급 기자들의 ‘릴레이 퇴직’현상을 걱정하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동아 노조는 지난 8일자 노보를 통해 “연차가 올라갈수록 근무 강도와 부담은 커지는 반면에 직업 만족도가 하락하는 최근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입사 12년차 최모 기자가 지난 6월 KBS에 경력 입사했고 입사 20년차 조모 기자는 지난 7월 회사를 그만뒀다. 또 입사 17년차 이모 기자 역시 지난 8월 보건복지부 홍보담당관으로 자리를 옮겼다.


다소 성격은 다르지만 중앙일보도 최근 통합뉴스룸 운영에 따라 자매 매체에서 중앙일보로 파견 온 기자 2~3명이 회사를 그만뒀다.


이직 현상을 가볍게 볼 수 없는 것은 신문 산업을 둘러싼 대내외 환경이 녹록지 않은 데다 대책 마련 역시 쉽지 않기 때문이다. 신문 산업이 쪼그라들면서 디지털 퍼스트 등을 기치로 새로운 탈출구를 모색하지만 그에 따른 부작용으로 기자들의 업무 부담이 커지고 있는 게 현실이다.


여기에 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으로 해외출장이나 해외연수 등의 기회가 줄어들거나 사라지면서 젊은 기자들을 중심으로 이직 행렬은 더 거세질 수 있다는 위기감이 확산되고 있다.


한 메이저신문 기자는 “해외연수를 갈 수 있는 기회가 막히는 등 갈수록 미래에 대한 비전이 보이지 않는다”며 “지상파 3사에서 경력기자를 뽑는다고 하면 기자끼리 술렁인다”고 말했다.

김창남 기자 kimcn@journalist.or.kr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