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세만 점친 총선보도

[언론 다시보기] 김준현 변호사

  • 페이스북
  • 트위치

▲김준현 변호사

이번 총선에서 유권자들은 철저히 외면당했다. 여야는 물론이고 언론도 유권자들에게 예의를 차리지 않았다. 정치권은 후보공천과정부터 당내 분파들 간 치열한 이익 챙기기 모습만 보였고, 후보 등록 이후에는 읍소와 반협박으로 표를 구걸했다.


언론도 친절하지 않긴 마찬가지였다. 매번 선거 때마다 언론은 공정하고 객관적인 보도로 정당과 후보자를 검증하는 역할을 하겠다고 다짐한다. 그래서 선거보도준칙도 마련하고, 언론사별로 자체 규정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번 선거보도는 역대 최악이라 할 만큼 언론의 역할이 미미했다. 아니 미미했다기보다는 잘못된 흐름으로 유권자들을 무시했다.


먼저 불공정 보도, 즉 보도의 편파성 문제이다. 선거 때마다 되풀이되는 지적이지만 불공정 편파보도 시비는 이번에도 끊이지 않았다. 얼마 전 MBC, KBS, SBS 노조가 자사의 선거보도가 여당 편향적이라고 평가한 것은 한 예에 불과하다.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표현처럼 현 언론 진영에서는 최소한의 기계적 중립마저 기대하기 힘들었다.


불공정 편파보도가 언론 지형의 문제라면 정책보도의 실종은 현 저널리즘 수준의 문제다. 선거를 게임으로만 보는 전략적 틀에 갇힌 보도들만 넘쳐났다. 정당의 후보공천과정, 정당선거전략, 정당대표자들의 동정이나 성명, 판세분석 등 전략적 프레임의 관점에서 선거를 보도하는 이른바 전략적 구도 보도행태다. 예를 들어서 새누리당이 개헌 가능 의석수를 얻을 수 있을까라거나, 국민의 당이 몇 석을 확보할 것인가라는 이슈들이다. 물론 유권자들이 관심을 가질 만한 주제이다. 문제는 언론이 이러한 전략적 구도, 판세 보도에만 매몰되고 있다는 것이다.


여론조사보도 역시 마찬가지다. 한 지역구에 대해 언론사별로 돌아가면서 여론조사결과를 보도한다. 격차가 벌어졌는지, 줄었느니 하는 보도가 그 내용의 전부다. 흥미 유발을 위한 전형적인 경마 저널리즘이다.


▲지난 6일 오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전국언론노동조합 주최 ‘지상파 3사 노조 공추위간사 합동토론회’ 모습.(전국언론노동조합)

물론 선거에는 승패가 있기 마련이다. 유권자들의 투표로 당선자와 낙선자를 가린다. 그러나 선거가 민주주의의 꽃이라고 불리는 까닭은 주권자들이 ‘투표권’을 행사하기 때문만은 아니다. 주권자들은 선거과정에서 정당과 후보자들의 정책과 자질 등에 대한 다양하고 객관적인 정보를 습득한다. 이를 통해 정치적 세례를 받고 그 결과를 투표권의 행사로 발현해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때문이다. 뽑히는 후보자가 아니라 뽑는 주권자들이 중심이 되는 민주주의 선거란 이런 것이다. 후보자나 정당과 직접 접촉하기 보다는 언론을 통한 정보습득이 많은 현재 상황에서 선거보도의 중요성이 더욱 큰 이유다.


그러나 언론은 투표참여를 흔한 공익캠페인의 하나로만 여기는 것 같다. 귀중한 한 표를 행사하라고 닦달만 할 뿐, 정작 필요한 정보는 제공하지 않는다. 노동당이나 녹색당이 정책으로 내건 기본소득제 도입과 같은 정책이슈는 눈길도 주지 않는다. 한 켠에 단지 이색 공약으로만 소개할 뿐이다. ‘일자리 창출’같은 전국민적 관심사에 대한 언론의 태도도 정도만 다를 뿐 비슷하다. 여야의 일자리 대책은 그 구호만 보아서 대동소이하다.


그런데 비교, 분석, 검증해야 할 언론은 손을 놓고 있다. 한마디로 정책보도의 실종이다. 정당들이 구태의연한 정책을 되풀이 한 이유도 있겠지만 언론 역시 유권자를 대신해 정당과 공직후보자를 검증 감시하는 공적 의무를 방기한 탓이다. 주권자들을 경기장에서 선수들의 경기를 관람하는 단순한 객체로 만들어 버린 셈이다.
흔히 무지는 사회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 그보다 더 위험한 것은 대중을 무지로 이끄는 행태다.



김준현 변호사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