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업계, 카카오토픽 콘텐츠 계약 공동대응 추진

신문협회장, 발행인들에 이메일 "뉴스 콘텐츠 헐값 넘기지 말자"…조중동 네이버 모바일 계약 변수

  • 페이스북
  • 트위치

모바일 메신저 ‘카카오톡’으로 알려진 카카오가 지난달 24일 ‘카카오토픽’의 오픈베타 서비스를 선보인 가운데 신문업계가 또다시 모바일 및 포털에 대한 공동 대응에 나서면서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카카오토픽은 뉴스, 패션, 뷰티, 유머 등 다양한 콘텐츠를 사용자의 관심사에 맞게 추천해 주는 ‘큐레이션 애플리케이션(앱)’이다. 특히 개인화 및 소셜 필터링이 반영된 자동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현재 화제가 되는 이슈들을 분석, 개인별 맞춤형 콘텐츠를 추천해 준다.


카카오는 이번 서비스를 위해 110여곳의 언론사, 잡지사 커뮤니티 등과 콘텐츠 계약을 맺었으며 점진적으로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국민일보, 한국일보 등 일부 신문사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언론사들은 실익이 없다고 판단해 카카오와의 정식 계약을 미루거나 테스트에만 참여하고 있는 수준이다.


현재 3500만 가입자를 보유한 카카오톡과의 연계 방안이 확실하지 않고, 카카오에서 제안한 수익모델 역시 매력적이지 않기 때문이다. 


▲카카오가 지난달 24일 오픈베타 서비스를 시작한 ‘카카오토픽’ 캡처 화면. (카카오 제공)

카카오는 기사에 광고를 붙이고 여기에서 나오는 수익을 일정 비율로 나누는 RS(수익 쉐어)방식과 해당 언론사로 트래픽이 직접 유입되는 ‘아웃링크’방식을 선택할 수 있도록 신문사에 제안했다. 하지만 주요 신문들은 두 가지 방식 모두 실익이 없다는 판단에서 계약을 미루고 있다.


그럼에도 신문업계가 긴장을 늦추지 않는 것은 네이버 때처럼 손 놓고 있다가 당할 수도 있다는 위기감 때문이다.
신문협회는 지난달 26일 신문협회 회원사 발행인에게 보낸 메일을 통해 “‘모바일 및 포털에서 뉴스 제값 받기’를 위한 연구 및 전략 수립 작업을 진행 중”이라며 “현재 잘못 짜여진 시장구조, 매체사에 일방적으로 불리한 수익배분 구조만큼은 반드시 고쳐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국내 포털 시장이 ‘독점에 가까운 과점’상태인 만큼 47개 회원사가 포털과 개별 협상해서는 뉴스 제값 받기가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도 “대안은 공동협상이고 협상 테이블에서 우리가 요구할 것은 ‘개별 뉴스에 대한 건건의 이용료’가 아니라 ‘포털 전체 광고수익의 적정비율 배분’”이라고 강조했다.


신문협회는 모바일 뉴스를 제공하는 데엔 반대하지 않지만 △신문의 필요에 따라 언제든지 개별 계약 및 제휴를 해지할 수 있도록 계약할 것 △뉴스 전재료를 적극 주장할 것 △자매지도 본지와 동일 원칙하에 계약할 것 등을 제안했다.


세계일보는 신문협회 제안을 반영해 카카오와 이 같은 내용이 반영된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그러나 신문업계의 공동 대응이 실효성을 거둘지는 미지수다. 실제 지난 6·4지방선거가 끝난 이후 잠잠했던 네이버와 동아 조선 중앙 매경 간 모바일뉴스 공급계약을 위한 협상이 최근 재개됐다. 이들 신문사는 그동안 모바일 부문을 미래의 먹을거리로 보고 네이버와 뉴스 공급계약을 맺지 않았다.


조선 관계자는 “독자들에게 다양한 방식으로 뉴스를 제공하기 위해 네이버와 모바일 뉴스 공급계약을 위한 협상을 진행 중”이라며 “다만 카카오토픽의 경우 카카오와 다음 간 합병 이후 서비스와 조직이 어떻게 정비될지 모르기 때문에 추이를 지켜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문에 신문업계의 모바일 및 포털 공동 대응이 또 다시 실험대에 오르게 됐다. 주요 신문사가 네이버와 모바일 계약을 맺을 경우 이런 공조 움직임이 와해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한 신문 관계자는 “모바일 뉴스 시장은 신문사에게 잠재력 있는 시장으로 평가받아 왔지만 시장경쟁 환경을 고려할 때 결국 손쉬운 이익모델을 좇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을 것 같다”고 전망했다.

김창남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배너

많이 읽은 기사